퀵바

x박욜레 님의 서재입니다.

백조의 시대

웹소설 > 자유연재 > 대체역사, 드라마

완결

박욜레
작품등록일 :
2021.01.02 21:31
최근연재일 :
2021.02.22 13:58
연재수 :
66 회
조회수 :
2,242
추천수 :
2
글자수 :
351,184

작성
21.01.17 01:52
조회
74
추천
0
글자
0쪽

등장하는 인물들이 관직은 가지고 있지만 품계가 어디에 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해서 관직표를 올립니다.


여기서 혼동이 올것이 바로 제르녹이 높으냐 도리가 높으냐 하는 부분입니다. 표면상으로는 제르녹이 바로크니 제국의 사실상 황위 계승자이기 때문에 높은 것은 사실인데다가 도리는 대신관 + 대장군 + 수도 사령관이니 상장군인 제르녹보다는 낮습니다.


하지만 귀족 품계에서는 도리가 높죠. 이건 어쨌든 제르녹은 바로크니 제국에서 일시적으로 귀순해 온 외지인이고 도리는 엄연히 백조제국 사람이기 때문에 영향력과 비중으로 글을 읽으시는 것이 더 편하실 겁니다.


여기 표에 등장하는 주진과 오로라라는 인물은 후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니 스포지만 등장까지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황제나 황후, 태후 등은 무품계이기 때문에 등장하지 않는 점을 참고 바랍니다.

타복이 밭은 관직은 명예직이라 또 표에는 없고 마르실 국사는 성직자이기 때문에 이 또한 품계가 없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백조표.png

<태위계> : 그만큼 높은 직위라는 뜻. 신하들 보다는 높지만 황제보다는 낮은 직책들.

<상위계> : 태위계가 범접할 수 없는 직급이라면 상위계는 나라에서 중책을 맡은 사람들이다. 총리급 이상.

<적품계> : 1 ~ 준 1품의 직위. 부총리급에 해당한다.

<청품계> : 2 ~ 4품의 직위. 수석 장관급들이 해당.

<녹품계> : 5 ~ 8품의 직위, 장관 ~ 4,5급 공무원이 해당.

<황품계> : 9 ~ 13품의 직위, 5, 6급 공무원이 해당.

<자품계> : 14 ~ 17품의 직위, 7, 9급 공무원이 해당.


1. 상국(한강)

※ 지금의 국무총리 격이다. 재상으로 불릴때도 있는데 상국은 재상을 한 단계 높여 부르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어차피 상위계인 것은 같다. 상국을 맡은 한강은 여기에 국존으로 모셔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으로 따지자면 국회의장급의 권위도 같이 지니고 있다고 보면 되며 한강 한정으로 태위계와 같은 지위.


2. 섭정(강신)

※ 지금으로 치면 대통령 권한 대행이라고나 할까? 또는 책임 총리와 비슷하다. 강신은 다른 섭정과는 다르게 섭정치고는 실권이 크게 없는 직위다. 다만 태위계와 상위계에 걸쳐져 있는 이유는 그만큼 직위가 높기 때문이다.


3. 집정관(평도, 경수왕자)

※ 집정관이라는 뜻이 섭정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에 대우는 섭정, 상국과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한강이 연치도 있고 국존으로 받들어지고 있기에 같은 상위계이지만 한강보다는 낮은 직급으로 보면 된다. 제니 시절에 만들어진 신설 직으로 좌, 우 각각 1명.


4. 감록국사(제르녹)

※ 감록국사는 임금 대신 나라의 일을 맡아 보는 높은 대신이라는 개념의 직위인데 기존에 임금이 존재한 상황에서 정사를 대신 돌보는 섭정이나 집정관과는 다른 개념이다. 다만 백조의 시대 세계관 상으론 리베 황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감록국사 역시 다르지 않다. 다만 바로크니 제국 한정으로 황태제가 될 제르녹이 맡은 직위. 황태제가 된 이후에도 겸임하고 있다.


5. 전권대신(푸하)

※ 상국과 같은 개념이다. 전권을 쥐고 있는 대신이라는 뜻으로 원래는 있지 않은 직책이었지만 리베가 새로 신설해 자신의 충복인 푸하에게 준 관직이다.


6. 국태왕(평도)

※ 국태공의 상위개념. 원래 흥선대원군이 국태공으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듯이 임금의 아버지이나 임금이 아니었던 사람에게 통념상 부르는 칭호이다. 황제국이니까 국태공이 국태왕으로 승격되어 불리는 것이다. 다만 계보도에 있는 조이 황태후와 경수 왕자의 아버지인 브라바나 3세나 평도 왕자는 각각 황제의 장인, 숙부 자격이지만 공적이 뛰어났기 때문에 황제의 아버지나 다름 없다 해서 국태왕 칭호를 받을 수 있었다.


7. 대공주(화평)

※ 원래 대공주라는 칭호가 자주 쓰인 것은 아니다. 황제의 여자형제나 아니면 황제의 고모에게 주어지는 칭호였는데 스완 1세가 화평공주에게 병주고 약주고자 하는 것이었는지 대공주 칭호를 내리고 슈베리안으로 추방했었다. 공주보다는 확실히 높은 개념.


8. 황태자/황태제(박사)

※ 황태자는 말 그대로 황위를 이을 황제의 아들, 황태제는 황위를 이을 황제의 동생을 이야기 한다. 박사는 스완 1세 때는 황태자, 지금은 황태제인 것이다.


9. 왕자/공주(이로, 오로라)

※ 왕자라는 이름 자체는 외국의 프린스에서 음차되었듯이 대공에게도 왕자라고 불렀다. 하지만 제니 황제가 다시 돌아온 이후 왕자 칭호를 대공에게 쓰지 못하게 하면서 왕자의 칭호는 황제의 아들, 공주는 황제의 딸에게만 주어지는 칭호가 되었다. 오로라 공주 같은 경우는 스완 1세의 동생인 다르발 왕자가 황제로 추존되면서 공녀에서 공주가 된 것이고 이로는 아버지 평도 왕자가 국태왕이 되면서 왕자가 된 케이스.


9-1. 태왕자(경수 한정)

※ 백조제국에서 평도 왕자를 국태왕으로 세우면서 그에 상응하기 위해 경수에게 준 직위. 대공주 개념과는 다르다. 직위 서열로 따지면 대공주보다도 높다. 어느나라에도 없는 직위거니와 경수만 유일하게 받은 직위이다.


-----------------------------------------------------------------


10. 가섭정(동인)

※ 후에 동인이 아버지 강신의 작전상의 정치적 퇴진으로 물러나자 맡은 직위다. 한 나라에 섭정을 두 명을 둘 수는 없으니 나라에서 편의상 앞에 "가" 글자를 붙여 만들어 준 직위.


11. 중대신/내대신, 좌대신, 우대신(비티,도리/내대신, 주진/좌대신)

※ 백조제국에는 내대신, 좌대신, 우대신이라고 해서 상국이나 그에 상응하는 집정관, 섭정들을 보좌하는 상위급 대신의 직책이 있다. 조선으로 따지면 좌, 우찬성에 해당하는데 명예직이긴 하지만 엄연히 높은 직위이기에 영향력도 크고 유력 귀족가문이나 황실 일가가 아니면 맡지 못하는 요직이었다. 내대신은 그 중 가장 으뜸. 모두 1명 씩 존재. 여기서 내대신만이 적품계에 해당하는 대우를 받았다.


12. 대신관(도리), 내신관, 신관

※ 도리가 내대신이 되기 전에 가지고 있는 직책. 대신관 역시 신설된 직책이다. 원래 황제들은 하늘에 제사를 지낼 권한을 가지는데 황제 대신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권한을 행사하는 막강한 직책이다. 대신관은 도리 한정이기는 하지만 천명을 빙자해서 얼마든지 일을 꾸며낼 수 있는 권력형 직책이기도 하다. 대신관은 1명. 내신관은 2명, 신관은 5명인데 내신관과 신관은 대신관을 보좌하는 직책이다.


13. 대도독(평도 왕자), 상장군(제르녹), 대장군(도리)

※ 원래는 어느나라를 가나 대장군이 군사 편제 상 가장 높은 직책이다. 하지만 바로크니 제국 한정으로 대장군 위에 상장군의 직책을 두어 대장군의 상관으로써 대장군을 견제하는 역할을 맡으면서 군사를 총지휘하는 직책이다. 제르녹이 임명되었다시피 바로크니 제국에서는 황실 종친이 맡을 수 있는 직위. 모두 나라마다 1명씩이다. 상장군은 오늘날로 보면 원수(5스타). 대장군은 대장(4스타)의 직위라고 보면 된다. 굳이 보자면 슈베리안 제국의 염지가 대장군급 즘 된다. 슈베리안 제국이 유목국가이다보니 정확한 관직과 품계가 없기 때문. 후에 제르녹 때문에 상장군 위에 대도독 직위를 만들었다. 표시는 아니 되어 있지만 평도 왕자가 맡은 직책.


-----------------------------------------------------------------


14. 어사대사, 도평사, 도수사, 어사중승

※ 나라의 감찰을 맡아보는 기관인 어사대의 관리들. 어사대사는 오늘날의 검찰총장인데 이 역시 도리와 제르녹이 군권을 쥐고서 사건 수사나 형벌까지 관장을 하기 때문에 권한을 행사하기 때문에 유명무실한 직책이 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어사대사를 비롯한 직책을 섭정파 사람들이 차지하고 있어서 사실상 섭정부 관할이며 어사대사. 어사중승은 1명, 도평사와 도수사는 각각 2명이다.


15. 공자(이로), 공녀(이로의 부인)

※ 주로 왕자의 자식들을 이렇게 부른다. 왕자가 죽으면 세습을 하는데 공자는 대공으로, 공녀는 여대공으로 임명된다.


16. 6부 판서, 보판서, 참판, 참위

※ 여기서 6부는 군사를 맡아보는 군부, 인사를 관리하는 이부, 나라 살림을 맡아보는 경부, 토목이나 공사를 담당하는 공부, 외교를 담당하는 외부, 형벌을 관장하는 형부를 말한다. 판서는 바로크니 제국에서는 판사라고 부르는데 군부판서는 이미 앞서 이야기 했듯이 도리와 제르녹 때문에 명예직이나 다름 없다. 나머지 직책들 역시 파벌 싸움에 일부인데 군부, 이부, 공부를 섭정파가, 경부, 외부, 형부를 황실파 대신들이 차지하고 있다. 또 보판서는 백조제국에서만 한정된 직위로 일종의 수석차관(?)이라 생각하면 되는데 판서, 보판서, 참판이 각 부서에 1명. 참위는 2명이다.


17. 전장군

※ 백조제국 한정으로 상장군과 대장군이 자리를 비우면 장군들 중 으뜸으로써 군사를 맡아보는 직위. 도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이로가 겸직하고 있는 직위이다. 1명이며 오늘날로 따지면 중장(3스타)급이다.


18. 섭정장군(문치)

※ 장군이지만 섭정을 호위하는 직책이기에 급이 높다. 문치는 홍류궁지사를 겸하고 있지만 그 직위가 품계가 없는 직위라서 장군보다는 높은 섭정장군을 맡는 셈. 당연히 섭정이 없으면 사라지는 직책이다. 오늘날로 보면 중장과 소장(2스타) 사이에 있는 직위.


19. 관박사 = 감사관 . 수박사, 박사

※ 관박사, 수박사, 박사는 6부에 있는 관원인데 지금으로 따지면 관박사는 이사급, 수박사는 부장급, 박사는 과장급의 직책이라고 보면된다. 섭정부와 종친부에는 관박사를 다르게 감사관이라고 부르는데 감사관은 일종의 비서역할을 맡는는다. 관박사와 감사관은 모두 각 부서에 3~6명씩 있고 수박사와 박사는 부서마다 틀리지만 8~12명씩 있다.


20. 장군, 부장군

※ 장군은 소장(2스타)급이고 부장군은 준장(1스타)급인데 장군은 바로크니 제국에서는 10명, 백조제국은 8명을 두고 있고 부장군은 바로크니 제국이 15명, 백조제국이 16명을 두고 있는데 일부 자리는 하급 귀족들에게 겸직하라고 주는 듯 하다.


-------------------------------------------------------------


21. 참사관, 진사 = 진사관

※ 참사관과 진사는 회사로 보면 차장급 인사라고 보면 된다. 참사관은 부서마다 역시 틀리지만 20~40명 정도가 있고 진사는 6부의 부서마다 적으면 50명, 많으면 60명까지도 있다. 경도 귀족이나 지방 귀족의 자제들이 여기부터 관직 생활을 시작한다.


22. 대부장, 중부장, 부장

※ 전쟁터마다 주, 조연급 인물들이 데리고 다니는 부장이 바로 이들이다. 대부장은 대령, 중부장은 중령, 부장은 소령에 해당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이로나 이로보다 높은 사람들인 공작급 이상의 사람들은 전쟁에서 대부장이 부장으로 배정 되고 백작은 중부장이, 자작과 남작같은 하급 귀족은 부장이 배정된다. 주로 지방 귀족의 자제들이 맡는 직책인 모양. 군사 편제마다 다르지만 부장을 모두 합하면 100~150명씩은 나라마다 있다.


23. 내위

※ 내위는 하급 소령에 해당하는 직급이다. 수가 많지는 않으며 나라마다 150명 정도 있다.


-------------------------------------------------------------


24. 평사(도위), 부사, 녹사

※ 7~9급 공무원이다. 평사가 7급, 부사가 8급, 녹사가 9급이라고 보면 되는데 모두 부서마다 100명 이상씩은 있는 듯 하다. 섭정부에는 50명으로 이루어진 도위라는 직책이 있는데 평사보다는 높은 대우를 받는데 도위는 문관이라기 보다는 홍류궁 병사를 감독하는 일종의 소대장이라고 보면 된다. 대부분 평민들 중에서도 부유한 사람들이 맡는 관직이다.


25. 교위, 병녹사

※ 교위가 소위 ~ 대위급이고 병녹사가 하사관급의 직책이다. 녹사가 바로 병이 붙었느냐 아니냐에 따라서 문관인지 무관인지를 구별한다고. 교위는 부유한 평민들이. 병녹사는 가난한 평민들이 시작한다는 것으로 봐서 실력보다는 돈으로 주고 파는 하급 관리인 것 같다.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백조의 시대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공지 백조의 시대 책 표지 22.01.18 23 0 -
공지 백조의 시대 위키백과 개관 21.07.12 15 0 -
» 백조 제국과 바로크니 제국의 관직에 대한 자세한 설명. 21.01.17 75 0 -
공지 백조제국 계보도 21.01.10 119 0 -
공지 백조의 시대 1부 등장인물 정리 21.01.02 93 0 -
66 65화(마지막회) - 마지막 발악(2) 21.02.22 48 0 17쪽
65 64화 - 마지막 발악(1) 21.02.18 22 0 11쪽
64 63화 - 신묘의 변(5) 21.02.17 41 0 16쪽
63 62화 - 신묘의 변(4) 21.02.12 29 0 12쪽
62 61화 - 신묘의 변(3) 21.02.09 37 0 9쪽
61 60화 - 신묘의 변(2) 21.02.08 26 0 10쪽
60 59화 - 신묘의 변(1) 21.02.08 26 0 15쪽
59 58화 - 두 날개를 잃은 강신(5) 21.02.06 38 0 11쪽
58 57화 - 두 날개를 잃은 강신(4) 21.02.06 39 0 15쪽
57 56화 - 두 날개를 잃은 강신(3) 21.02.03 26 0 15쪽
56 55화 - 두 날개를 잃은 강신(2) 21.02.01 30 0 14쪽
55 54화 - 두 날개를 잃은 강신(1) +2 21.01.31 46 1 14쪽
54 53화 - 초강수 21.01.29 42 0 19쪽
53 52화 - 암살(4) 21.01.27 32 0 15쪽
52 51화 - 암살(3) 21.01.27 38 0 10쪽
51 50화 - 암살(2) 21.01.25 34 0 16쪽
50 49화 - 암살(1) 21.01.24 35 0 15쪽
49 48화 - 소우즈 강(2) 21.01.23 29 0 17쪽
48 47화 - 소우즈 강(1) 21.01.21 27 0 12쪽
47 46화 - 동인과 이로 21.01.15 39 0 15쪽
46 45화 - 슈베리안 대전(7) 21.01.15 41 0 16쪽
45 44화 - 슈베리안 대전(6) 21.01.14 33 0 14쪽
44 43화 - 슈베리안 대전(5) 21.01.14 31 0 17쪽
43 42화 - 슈베리안 대전(4) 21.01.13 68 0 19쪽
42 41화 - 슈베리안 대전(3) 21.01.13 36 0 11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