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정원. 님의 서재입니다.

무당전생

웹소설 > 작가연재 > 무협, 퓨전

정원.
작품등록일 :
2014.10.27 17:08
최근연재일 :
2014.11.27 23:20
연재수 :
29 회
조회수 :
891,663
추천수 :
28,517
글자수 :
92,919

작성
14.10.28 23:00
조회
33,427
추천
1,018
글자
7쪽

서(序)-이(二)

DUMMY

진양이 열심히 수련하고 있는 내공심법의 이름이다.

소청기공은 기초만큼은 확실한 무공이었다. 기가 흐르는 구간인 기맥(氣脈)을 튼튼하게 단련해주고, 또 운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머릿속의 잡념을 지워주고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익히기에 그다지 어렵지도 않으니, 무당 내에서도 수련법으로서는 최고였다.

다만 소청기공에겐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바로 단전에 내공을 쌓는 속도다. 보통 무당이 속한 구파일방 등 대문파의 경우 내공을 쌓는 속도는 일반적인 무공에 비해 격이 다른 편이다.

하지만 소청기공은 너무 기초에 열중하다 보니, 정작 내공을 쌓는 속도나 양에 대해선 신경을 쓰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어렸을 적에 소청기공을 익히게 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소청기공은 입문 무공으로서 기맥을 강화하고, 운기조식을 하는 감각을 길러주는 용도인 셈이다.

때문에 나이 열두 살쯤이 되면 소청기공에서 태청기공으로 갈아타는 것이 보편적이다.

아이들은 집중력이 의외로 약하고, 호기심 덩어리다. 때문에 극도로 안전한 것을 반복수련 시켜서, 수련 그 자체에 익숙해지게 만들기 위함인 것이다.

진양은 일찌감치 그 사실을 눈치 챘다. 이미 한국에서 나이 스물셋이 되었던 진양에게 이런 반복학습법은 아주 익숙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대학을 가려고 해도 이런 식의 공부는 주효하다. 암기야 말로 공부의 왕도 아니던가?

여하튼 그렇게 운기조식에 집중하는 방법을 깨우친 아이들은 이제 조금 더 위험하지만, 더 효율적인 내공심법인 태청기공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 이상 내공이 형성 되면 태청신공을 익히게 된다.

이쯤 되면 나이가 스무 살은 되어야 하고, 이때까지 부단히 노력했다면 절정고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진양이 기억하기로, 절정고수는 강호에 나가서 제법 대접을 받는 무인으로, 강호에 절정고수의 수는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라고 한다.

명문무가. 혹은 거대문파들의 힘은 바로 여기서 나온다.

부단하게 노력하면 적어도 십 오년 만에 무조건 절정고수가 될 수 있는 무공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수련법을 가지고 있다!

그게 바로 명문정파의 힘이다.

무당파도 그러해서, 부단히 노력하면 적어도 스물에 절정고수가 되고, 늦어도 스물다섯에는 절정고수가 된다고 한다.

강호의 다른 중소문파로서는 엄청나게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태청신공을 배울 때 즈음에 만약 무당의 도인이 절정고수라면, 그때부터는 다른 무공도 배울 수 있다.

무당의 여러 절학인 육양신공(六陽神功)이라던가, 혹은 양의신공(兩儀神功) 같은 것들이 있는 것이다.

물론 그것들을 익히려면 몇 가지 특수한 조건을 해결해야만 하지만. 그것 까지는 진양도 아는 바가 없었다. 나중이 되면 알게 되겠지.

‘후우. 슬슬 일어날까.’

아침에 행하는 운기는 약 한 시진. 그 이후엔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 사대제자로서 일과는 전에도 말했다시피 바쁘다.

“비켜비켜!”

“내가 먼저 갈 거야!”

눈을 뜨자마자 사대제자들이 벌써부터 일사분란하게 이동하는 것이 보였다. 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몇몇 무리는 느긋하게 움직였는데, 이들은 아직 스승이 없는 제자들이었다.

그 외의 사대제자가 바쁘게 움직이는 이유는 바로 스승과 사형, 혹은 사저의 조식(朝食)을 챙기기 위해서였다.

진양도 마찬가지였지만, 서두를 필요는 없었다.

조리원의 원주가 그의 스승이다 보니, 식당에 가면 식당에서 일하는 하인들이 미리 챙겨주었기에 남들처럼 서두를 필요가 없었다.

자리에서 느긋하게 일어나서, 마치 산책하듯 걷는 진양을 보고 청중은 그 뒷모습을 묘한 시선으로 살펴봤다.

‘진양이라 했나? 보면 볼수록 묘한 놈일세.’

청중의 눈에 진양이 들어온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원래는 한 달 전만 해도 평범한 아이였지만, 최근 들어 부쩍 속으로 성장했달 까, 묘하게 어린아이가 아니라 다 큰 성인 남성과 대화하는 느낌이었다.

굳이 말하자면 애늙은이다. 열 몇 살도 아니고, 아직 어린아인 여덟 살인데 저렇게까지 성숙한 아이는 처음이었다.

뭐랄까, 어린아이 특유함의 순진무구함이 없는 것 같았다. 마치 산전수전을 겪은 성인 남성의 눈이었다.

“쩝. 청솔 사형도 별난 놈을 제자로 들였군.”

신경이 좀 쓰이긴 했지만, 그것뿐이다. 특별히 문제를 일으키는 것도 아니고, 하늘이 내린 근골이 가졌다는 등 신경 써야 할 아이도 아니었기에 청중은 자기 할 일에 집중했다.

“자! 너희들도 어서 식당으로 가서 밥 챙겨먹어!”

진양은 조리원에 들렸다가, 총 삼인분의 조식을 챙겨 들고 청솔이 있는 집무실에 들렸다.

삼인분을 챙긴 건, 자신과 스승. 그리고 같은 스승 아래에서 배운 사저의 몫까지였다.

집무실에 들리자마자 가장 먼저 그를 반긴 것은 다섯 살 많은 사저, 진연(眞聯)이었다.

“양아, 좋은 아침.”

진연은 눈을 초승달처럼 휘며 눈부신 미소를 보였다.

아직 열셋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진연의 미모는 무당 내에서도 상당히 눈에 띄었다.

백옥같이 흰 피부, 오밀조밀한 이목구비. 비단결처럼 고운 흑색 머리카락에 갸름한 턱선. 눈꽃이 쌓일 것 같은 긴 속눈썹을 보면 아마 나중에 나이가 들면 굉장한 미녀가 되지 않을까 싶었다.

“왔느냐.”

창가에 뒷짐을 쥐고 서있던 청솔이 몸을 돌려 막내 제자를 반겼다.

‘음. 언제 봐도 무서운 얼굴이야.’

진양은 겉으론 내색하지 않았지만 속으로 하마터면 깜짝 놀라 손에 든 조식을 그대로 엎을 뻔했다.

자신의 스승인 청솔의 겉모습은 솔직히 도사와는 거리가 멀었다.

차라리 한 산채의 우두머리를 하고 있는 산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나을 정도로, 청솔은 험상궂게 생겼다.

떡 벌어진 어깨, 곰처럼 거대한 몸체. 매섭게 찢어진 눈매와 더불어 굳게 다물어진 입 등을 보면 보자마자 힉, 하고 겁을 먹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저런 얼굴 때문에 사대제자 사이에선 무당과의 거리가 먼 수라(修羅)라는 별호(?)가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인성까지 나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자상하고 인자한 성격일 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취미가 요리였는지라 진양과 진연에게 어렸을 적부터 맛있는 음식을 해주곤 했다.

“스승님, 좋은 아침입니다.”

진양이 공손하게 인사했다.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22

  • 작성자
    Lv.28 이씨네
    작성일
    14.10.30 01:42
    No. 1

    스물중반을 산전수전을 다 겪어다는 표현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들며,좋은 아침이라는 아침인사.참으로 어색합니다.굳모닝을 억지로 한국말로 표현하는 인사가 이제 무협에 까지 등장하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이씨네
    작성일
    14.10.30 01:43
    No. 2

    겪어-겪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조카
    작성일
    14.11.01 16:03
    No. 3

    스물에 절정 스물다섯에 절정 ---> 스물에 절정 스물다섯에 최절정???
    즐감하고 갑니다만 사부님께 문안인사가 글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血天修羅
    작성일
    14.11.02 17:08
    No. 4

    재밌기는 한데 늙어 죽은것도 아니고 일반적인 사람이 전역하자 마자 죽었는데 그 기억을 찾았다고 산전수전 겪었다는 건 좀 이상하네요, 글고 스승에게 하는 인사가 무지막지 어색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물물방울
    작성일
    14.11.02 21:43
    No. 5

    우리 인사에는 좋은 아침은 없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7 반격
    작성일
    14.11.10 15:54
    No. 6

    본문 중에
    '부단히 노력하면 적어도 스물에 절정고수가 되고, 늦어도 스물다섯에는 절정고수가 된다고 한다.'
    요거요거 좀 이상하네요.
    '적어도'와 '늦어도'는 같은 의미죠.
    '적어도'를 '빠르면', 혹은 '적으면'으로 바꾸면 맞을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키온
    작성일
    14.11.13 09:00
    No. 7
  • 작성자
    Lv.99 바람왕
    작성일
    14.11.15 22:39
    No. 8

    잘 보고 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안빈낙도1
    작성일
    14.11.16 00:29
    No. 9

    좋은 아침입니다.라는건 서양식 인사죠. 안녕히 주무셨습니까? 라든가 기침하셨습니까? 정도가 동양식 인사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태양과바람
    작성일
    14.11.17 22:32
    No. 10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요혈락사
    작성일
    14.11.22 11:38
    No. 11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白雨
    작성일
    14.11.23 03:23
    No. 12

    잘 보고 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0 Kitsch
    작성일
    14.11.23 20:30
    No. 13

    좋은아침...... 굿모닝이 나오다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수훈
    작성일
    14.11.25 14:12
    No. 14

    70퍼. 하늘이 내린 근골이 가졌다--> 근골을..
    정주행 승선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선율
    작성일
    14.11.25 16:00
    No. 15

    잘 보고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흑단빙화
    작성일
    14.11.26 11:04
    No. 16

    재밌어요~달리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EyeWater
    작성일
    14.11.30 10:27
    No. 17

    그 시대에 남자가 요리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검불루
    작성일
    14.11.30 13:49
    No. 18

    좋은 아침 보고 댓글 달러 왔더니 이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마코슈
    작성일
    14.12.08 01:24
    No. 19

    무당파가 한국에 있으면 좋은아침에 태클을 거는게 맞는데.; 무당파는 지리상 중국아닌가요.;
    중국의 아침 인사말은
    라오쓰 하오. 또는 쟈오샹 하오 정도기에 좋은아침입니다는 딱히 태클걸데가 없는것 같은데 말입니다..
    왜 좋은아침입니다가 굳모닝의 번역체라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니하오같은 그냥 '안녕하세요'도 있긴합니다만.. 주인공은 어제오늘 본사이이기에 안녕하세요는 안어울리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musado01..
    작성일
    14.12.09 20:04
    No. 20

    잘 보고 갑니다.

    건 필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천지
    작성일
    14.12.15 21:17
    No. 21
  • 작성자
    Lv.24 꺄하하
    작성일
    16.04.16 15:55
    No. 22

    태클좀 걸지마라 이인간들아
    천명이 보면 천가지의견 만명이 보면 만가지 의견이다 그걸다 적용이 가능하다 생각해 ? 그냥봐.
    글쓰는이는 작가고 작가의 생각과 의도가 글에 들어가는거다 온갖 의견 다 넣으면 잡탕되서 망하거든 !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당전생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공지 출간일 공지입니다 ^^ +2 14.12.26 2,701 0 -
공지 안녕하세요, 출간 및 연재 관련 공지입니다. +19 14.11.29 10,120 0 -
공지 연재관련 공지입니다. +14 14.11.22 20,235 0 -
29 재능(才能) 삼(三) +44 14.11.27 30,038 987 7쪽
28 재능(才能) 이(二) +69 14.11.25 29,098 1,021 7쪽
27 재능(才能) +57 14.11.23 30,755 1,079 7쪽
26 양의신공(兩儀神功) 삼(三) +39 14.11.21 28,803 1,117 8쪽
25 양의신공(兩儀神功) 이(二) +21 14.11.21 26,539 897 7쪽
24 양의신공(兩儀神功) +41 14.11.19 29,594 1,028 8쪽
23 성장기(成長期) 오(五) +45 14.11.18 29,303 1,028 10쪽
22 성장기(成長期) 사(四) +45 14.11.17 29,805 1,057 7쪽
21 성장기(成長期) 삼(三) +36 14.11.16 27,196 1,044 7쪽
20 성장기(成長期) 이(二) +28 14.11.16 27,390 868 8쪽
19 성장기(成長期) +31 14.11.14 29,173 986 8쪽
18 유(流)의 묘리 이(二) +36 14.11.13 28,224 970 8쪽
17 유(流)의 묘리 +42 14.11.12 28,669 979 7쪽
16 무룡관(武龍觀) 팔(八) +26 14.11.11 29,420 1,001 9쪽
15 무룡관(武龍觀) 칠(七) +27 14.11.10 28,107 983 7쪽
14 무룡관(武龍觀) 육(六) +19 14.11.09 29,176 947 7쪽
13 무룡관(武龍觀) 오(五) +24 14.11.08 29,198 984 7쪽
12 무룡관(武龍觀) 사(四) +26 14.11.07 28,407 962 7쪽
11 무룡관(武龍觀) 삼(三) +25 14.11.06 28,689 900 7쪽
10 무룡관(武龍觀) 이(二) +18 14.11.05 28,836 969 7쪽
9 무룡관(武龍觀) +29 14.11.04 29,178 942 7쪽
8 태극권(太極拳) 삼(三) +22 14.11.03 29,112 906 7쪽
7 태극권(太極拳) 이(二) +21 14.11.02 29,520 905 8쪽
6 태극권(太極拳) +17 14.11.02 30,607 930 7쪽
5 사대제자(四代弟子) 삼(三) +20 14.10.31 30,426 921 7쪽
4 사대제자(四代弟子) 이(二) +13 14.10.30 33,459 1,017 7쪽
3 사대제자(四代弟子) +20 14.10.29 34,319 987 7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