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비활 님의 서재입니다.

무림조사

웹소설 > 작가연재 > 무협

비활
작품등록일 :
2022.07.04 04:32
최근연재일 :
2024.03.29 16:48
연재수 :
28 회
조회수 :
62,108
추천수 :
1,207
글자수 :
148,385

작성
22.07.04 18:44
조회
4,965
추천
62
글자
5쪽

환생

DUMMY

환생



무릇 삼재기공(三財氣功)이란 기(氣)의 흐름을 깨우치고, 모아, 다스리는 세가지 원리를 탐구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무예의 경지를 이름에 있어 으뜸으로 치는 것이 바로 기감(氣感)을 깨우쳐, 만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읽어낼 수 있는 힘이다.

세상 만물을 뜻하는 천지인의 삼재를 가리킴에 있어 하늘이란 대자연을 가득 메운 기를 뜻하며, 땅은 이를 품어낼 그릇을 말한다. 허나 이를 자유자재로 부리기 위해서는 인간의 마음이 그 근본이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이루면 무학자 혜원이 말한 삼경에 있어 무예의 완성을 뜻하는 인(人)의 경지에 닿아 능히 무예에 의지를 담아 펼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경(勁)의 본질이며 삼재의 기공을 깨우치게 되면 권이건 장이건 각이건 의념 없이 모든 신체를 활용하여 내기를 발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여 그 첫째로 우선 심(心)과 신(身)을 다스려······.


.

.

.


일천년에 이르는 무림사에 있어 가장 대중 적으로 퍼진 무공을 꼽자면 다름 아닌 <삼재기공>을 꼽을 수 있다. 허나 정작 이를 창시한 조사(祖師)에 대한 기록은 어찌 된 일인지 찾을 수가 없었다.

다만 삼재기공의 첫 장에 적힌 거창한 도입부에 비해 그 효용은 그리 뛰어나지 못해, 무림인이 아닌 일반인들까지 취미삼아 익히는 건강용 무예로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

때문에 이 기공술을 창시한 이가 정말로 대단한 무예의 고수였을 거라는 것에는 항상 의문이 따랐다.

그러나······. 어찌 되었든 삼재기공은 내기를 다스리는 기공의 익힘에 있어 대단히 기초가 되는 이론을 포함하고 있었기에 적어도 엉터리는 아니었을 거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대체 왜 이게 이렇게 되었지?’


윤채호는 어이가 없었다.

애초에 채호는 딱히 제자를 두지도 않았다. 때문에 삼재기공의 취급은 둘째 치고, 이처럼 널리 퍼졌다는 것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현실이었다.

아니지, 잠깐.

제자는 없지만, 삼재기공을 누군가에게 알려주긴 했던 것 같다.

당시 보살피고 있던 오누이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혜원의 제자를 통해 삼재기공에 대한 기초를 들려준 기억이 어렴풋 있다.


‘······설마 그게 이 사단을 만들어 냈다고?’


세상일이란 알 수 없는 법이다.

어쨌건 삼재기공이 건강을 위한 호신용 무예로 알려진 것에 대해서는 살짝 억울한 감이 있었다. 오직 오누이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유로 기공술을 알려주었기에 정작 무예에 적용하기 위한 핵심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대충대충 넘겼던 것이다.


‘그렇지만 꼭 그게 나쁜 건 아니긴 하지.’


덕분에 이렇듯 자신이 마령윤회의 술로 부터 전생의 기억을 되찾게 된 것이 아니겠는가?

천마를 쓰러뜨렸을 때, 놈이 최후의 수단으로 선택한 마령윤회의 술을 깨트리려다가 역으로 휘말려 혼백과 육신이 흩어져 사라지던 순간의 감각이 아직도 선명했다.


‘설마 내가 그놈의 마령윤회술로 인해 환생하게 될 줄은······.’


운이 좋았다고 해야 할지 나쁘다고 해야 할지.

오직 천마를 쓰러트려야 하는 천명을 위해 살았던 지난 생이었다.

그리고 천마를 죽임으로서 그 천명을 다해 자신 역시 사라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다시 한번 살아갈 수 있는 기회라.’


채호는 손에 쥐고 있던 삼재기공의 비급을 바닥에 내려놨다. 아직은 약간 혼란스러운 기억을 정리하며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인했다.

윤채호.

벽력검 윤장열의 둘째 아들.

몸을 일으킨 채호는 장지문을 열고 작은 방을 나섰다.

장내를 조금 거닐며 마당을 벗어나자, 저 앞에 커다란 대문이 보였다.

대문 위쪽의 허름한 문패에는 <벽력문霹靂門>이라 적혀있다.

제자의 수가 고작 열 명 남짓인 이 작은 문파는 전대의 문주였던 벽력검 윤장열이 죽은 뒤 꾸준히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별 볼일 없는 변방의 문파.

작은 아버지인 윤백양이 뒤를 이어 문주가 되긴 했으나, 그 실력은 윤장열에 비해 많이 모자랐다.

앞으로도 벽력문이 위세를 떨칠 거대문파로 성장할 일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곳은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채호가 살아가야할 장소이기도 하다.

300년의 시간을 뛰어넘은 시대.

이 시대에 더 이상 자신을 옭아매던 ‘천명’은 없었다.


‘이런 것도, 나쁘지는 않겠어.’


목숨을 건 투쟁에서 벗어난 평범하고 소박한 삶.

그것이 바로 이번 생의 목표다.


작가의말

이전 환생조사를 제목을 바꿔 재연재를 시작합니다.

감사합니다.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2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림조사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28 야습의 결과 +2 24.03.29 260 8 12쪽
27 재주도 많은 녀석 +3 22.09.23 1,028 27 12쪽
26 서강문으로 +3 22.09.13 1,223 37 12쪽
25 열두 사도 +2 22.09.03 1,500 34 13쪽
24 기연을 얻었을 거야. +3 22.08.29 1,614 40 12쪽
23 몇 가지 의문들 +2 22.08.23 1,774 44 12쪽
22 전력을 다하다. +1 22.08.17 1,821 48 12쪽
21 무흔귀곡검 +2 22.08.13 1,828 51 13쪽
20 무산이괴 +2 22.08.09 1,816 42 11쪽
19 치료를 해주다. +2 22.08.05 1,841 46 13쪽
18 진가장 +2 22.08.02 1,838 43 12쪽
17 철두서생 +1 22.07.29 2,000 45 11쪽
16 조용할 날이 없다. +2 22.07.25 2,188 41 12쪽
15 벽력의 검 +1 22.07.22 2,150 46 11쪽
14 육합권 +1 22.07.20 2,133 49 12쪽
13 어째 수상하다. +2 22.07.18 2,102 45 14쪽
12 무림은 힘으로 결정한다. +2 22.07.15 2,166 49 13쪽
11 연회의 끝에 +1 22.07.14 2,203 41 12쪽
10 회담에 나서다. +1 22.07.13 2,234 42 12쪽
9 고수의 눈에 들다. +2 22.07.12 2,283 48 12쪽
8 손님이 오다. +1 22.07.11 2,360 40 12쪽
7 가르침을 주다. +1 22.07.09 2,525 38 12쪽
6 싸움의 준비 +1 22.07.08 2,679 42 11쪽
5 촌경을 보이다. +1 22.07.07 2,827 44 12쪽
4 문제랄 것도 없다. +1 22.07.06 3,149 46 12쪽
3 독학치고는 쓸만하지? +1 22.07.05 3,427 55 11쪽
2 귀찮은 일은 해결해 둘 필요가 있다. +2 22.07.04 4,174 54 11쪽
» 환생 +2 22.07.04 4,966 62 5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