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아란타르의 서재입니다.

고구려가 주필산에서 당나라를 무덤으로 보냄

웹소설 > 일반연재 > 대체역사, 판타지

아란타르
작품등록일 :
2023.06.09 10:42
최근연재일 :
2024.06.21 21:00
연재수 :
175 회
조회수 :
135,456
추천수 :
3,274
글자수 :
926,208

작성
23.07.02 18:22
조회
1,258
추천
28
글자
9쪽

시즌 1-26장: 군주로서의 능력도 쇠퇴하고...

이 작품은 트립물도 아니고 환생물도 아닙니다.




DUMMY

"성충이 투옥되고 난 이후에 단식투쟁을 하다가 죽었다고?!"

"예, 합하!"


성충의 사망 소식은 주변국들에게 제법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나 연개소문은 더더욱 큰 충격을 받았다.


"성충은 나 연개소문과 비견될만한 사람이었다. 그런데 부여의자가 그를 그저 죽게 내버려두다니?!"


이 시대 동아시아에 있어서 당나라, 고구려, 백제, 신라를 대표하는 준걸들로는 위징, 연개소문, 성충 그리고 김유신이 있었다.


그러나 위징은 죽은지 오래되었고, 김유신에 경우 부상열도로 이주해버렸기 때문에 신라사람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워졌으니 실질적으로 해동과 중원 영역에서 명성을 떨친 준걸로는 연개소문하고 성충 말고는 남지 않았던 셈이었다.


"비록 타국 사람이기는 했지만 성충은 실로 대단한 인물이었다. 그런데 부여의자가 그를 그냥 죽게 내버려두었다는 것이 도무지 믿기지가 않는구나."

"하오나, 합하! 지금까지 세작들이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 성충은 단식투쟁 도중에 죽은 것이 확실하옵니다!"


부하의 보고에 연개소문은 자신의 머리를 쓸어내렸다.


"허어~~! 정녕 부여의자가 예전만큼 못하다는 것은 사실이었나?"


연개소문은 그리 중얼거리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성충이 죽은 이후에 부여의자는 연회를 즐겼다고?"

"예, 그러하옵니다."

"게다가 성충이 피로 쓴 글조차 손대지 않았다고?!"

"그렇사옵니다. 합하!"


부하의 그 말을 듣고 연개소문은 속으로 '이렇게 되면 한번 백제를 찔러봐??'라는 생각을 품게 되었다.


'부여의자가 그렇게 점점 예전과 같은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은 그가 서서히 암군으로 변하고 있다는 소리가 된다. 하지만 정말로 그가 암군으로 변한 것이 맞을까? 의심이 들기도 하는군. 욱리하 일대에 주둔한 백제군은 여전히 빈틈이 보이지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으니 말이야.'


그리하여 연개소문은 위험부담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백제를 자극해보기로 하였다.


"여봐라!"

"예, 합하!"

"매금의 대군장이자 계림공인 비담에게 사람을 보내야되겠구나."

"사람이요?"

"그래!"


그리고 연개소문은 이번 일에 대해서 신라를 끌어들이기로 하였다.



* * *



"어라하! 신라의 병사들로 추정되는 무리들이 우리 남부여 국경에서 어슬렁 거렸다고 하는 보고이옵니다!"

"뭣?!"


그 보고를 듣자마자 부여의자는 술맛 떨어진다는 표정과 함께 물었다.


"어째서 섭라가 우리 국경 인근에 어슬렁 거렸다더냐?"

"그, 그것까지는 잘 모르겠사옵니다. 근데 문제가 하나 있사온데..."

"문제라고? 그게 무엇이더냐?"


부여의자의 물음에 신료가 이리 답했다.


"신라와 국경을 인접해 있는 아국의 군사기지들은 하나 같이 신라의 병사들로 보이는 무리들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이 상당히 늦어졌다고 하옵니다!"


이 말은 국경 인근의 경계태세가 헤이해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놀란 부여의자는 술잔을 바닥에 내팽개치면서 이리 외쳤다.


"아아아아아니이이이잇-! 어찌하여 국경 일대를 수비하고 감시하는 우리 대백제의 장졸들은 무얼 하였길래?!!"

"어, 어라하! 일단 고정하시옵소서! 아직 우리 국경 인근에 어슬렁거렸던 이들이 정말로 신라의 장졸들인지 잘 확인되지 못한 상황이 아니옵니까?"

"지금 그게 문제인가?!! 경계태세가 헤이해졌다는 말은 다르게 말하자면 아국의 국방력이 서서히 약화되고 있다는 말이 아닌가?!!!"


그렇게 부여의자가 문자 그대로 대노한 모습에 그 자리에 있던 신료들은 벌벌 떠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에에잇! 지금 당장 신라와 국경을 접해 있는 군사기지들을 담당하는 지휘관들을 모두 문책하도록!"

"조, 존명!"


부여의자가 그리 명령을 내린 후에 주위에 있던 은고와 궁녀들에게 말했다.


"오늘은 이만 연회를 여기서 파해야되겠구나. 연회를 할 기분이 아니다. 그래도 나중에 또 연회를 열 시간이 있을테니 그때까지만 좀 참거라."

"예, 어라하. 그리하겠사옵니다."


은고와 궁녀들은 그런 부여의자의 말에 충실히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느새 혼자가 된 부여의자는 뭔가 큰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나도 60대가 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 속에는 여전히 불길한 느낌이 좀처럼 사라지지를 않는구나. 뭔가 대책이 필요하겠어. 지금 내 마음 속에 있는 불길함이 정확히 뭔지는 알 수는 없지만, 그 불길함은 필시 우리 남부여와 크나큰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대백제국의 어라하로서 마땅히 조치를 취해야 하지 않겠는가? 한데 어떤 조치를 내리지?'



* * *



그렇게 고민 끝에 부여의자가 내린 조치라는 것은 다름아닌 자신의 아들들 중에서 적자를 제외한 서자 41명에게 좌평급의 벼슬을 주고, 각각 식읍을 내리는 것이었다.


"아니 어떻게 어라하께서 이런 일을?!"

"정치에 미숙한 어라하의 어린 아드님들에게 모두 높은 벼슬을 내리는 것도 모자라서 식읍까지 내리다니?!!"


당연한 것이지만 이러한 부여의자의 조치에 신료들은 크게 당혹감을 감추지 않았다.


"아무래도 어라하께서는 아드님들을 통해서 지방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실 모양인 듯 싶군."

"흥수 공의 말이 일리가 있어보이기는 하지만, 적자분들이 아닌 서자분들은 아직 성인도 되지 않으신 분들이 태반입니다!"

"그렇사옵니다! 어리신 그분들이 지방에 대한 감시를 잘 해내실 것이라고 보십니까? 필시 오히려 지방에 대한 감시를 잘해내기는 커녕 지방 귀족들에게 휘둘릴 가능성이 큽니다!"

"어라하를 말려야 합니다!"


흥수를 중심으로 뭉친 신료들이 그리 말하자 이에 흥수는 속으로 이리 독백했다.


'성충 공! 아무래도 이몸도 그대의 뒤를 따라야 할 듯 싶소이다!'


그리고 흥수는 무언가 결심했다는 표정과 함께 어디론가 향했다.



* * *



"어라하! 흥수 공께서 어라하를 뵙기를 청하고 있사옵니다."

"저녁 술잔치 중이었는데? 무슨 일로 흥수가 짐을 뵙기를 청하는가? 그래도 만나주는 것이 군주로서 해야할 도리이겠지. 들라해라!"

"예, 어라하!"


그렇게 해서 흥수는 과거 성충이 그러하였듯이 부여의자에게 충언을 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흥수는 부여의자에게 쓴소리를 날린 것이나 다를 바 없었다.


하지만 흥수는 자신이 날린 쓴소리가 부여의자를 정신차리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그런 흥수의 쓴소리는 부여의자를 정신차리게 만드는데는 실패했다.


더군다나 이때 부여의자의 곁에는 은고가 있었다.


"저놈이 어라하가 한창 기뻐할 때에 찬물을 뿌리는구나!"


그 말 한마디에 흥수는 자신의 미래를 직감했는지, 그 자리에서 대가리를 박은 채로 큰 절을 하면서 부여의자에게 제발 좀 정신 차리라는 취지의 간언을 하였다.


'아, 아니 흥수 이 사람이 예전에 죽은 성충과 비슷한 말을 하네?! 기분 나쁘게 시리...!'


그렇게 해서 부여의자는 성충에게 그러하였듯이 흥수 역시 옥에 가둘 생각을 하게 되었지만...


'아니지! 지난 날 성충이 옥에서 단식투쟁을 하다가 죽은 이후에 나와 정치적으로 반대 입장에서 선 귀족들 뿐만 아니라 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사람들마저 "이건 좀 아니지 않은가?" 하는 반응들을 숨기지 않았었다. 차라리 또 한명의 신하를 죽게 만들어서 악명을 쌓는 것 보다는 목숨을 살려주는 관용을 베푸는 것이 났겠군.'


그래서 흥수는 성충과는 다르게 감옥에 가는 대신에 고마미지현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 * *



"성충에 이어서 흥수까지 내칠 줄이야! 게다가 신라와 국경을 인접한 백제의 군사기지들은 하나 같이 즉각 대응에 실패했고, 이에 대해서 분노한 부여의자는 지방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자신의 서자 41명에게 좌평급 벼슬과 식읍을 내렸다라?"

"예, 형님! 특히나 41명의 서자들에게 식읍을 내리기 위해서 정치적으로 반대에 있는 귀족세력들을 크게 탄압하여 그들이 보유한 토지를 빼앗는 형식으로 식읍을 내렸다고 합니다."

"그 말은 지방귀족들의 분노가 크게 상승했다는 소리로구나."


연개소문의 그 말에 동생 연정토는 고개를 끄덕인 후에 이런 제안을 하였다.


"이는 실로 해모수님과 추모성왕께서 우리 대고려를 도우시려는 징조인 것이 틀림 없사옵니다."

"징조라?"

"예, 형님! 이는 필시 삼국을 통일하라는 징조이옵니다. 부여의자가 예전만큼의 총명함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면, 우리 대고려가 이 때를 노려야 하지 않겠사옵니까?"


연정토의 그 말에 연개소문은 순간적으로 혹! 하는 기분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이내 그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네말도 나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부여의자를 여전히 얕봐서는 아니되느리라. 신라와 인접해 있는 백제 국경에 위치한 군사기지들에 경우 즉각 대응에 실패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리수 남부 일대에 있는 백제의 군사기지들을 지휘하는 사람은 의직이다. 비록 그가 윤충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충분히 우리 대고려에게 있어서 위협적인 사람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게다가 계백도 남아있는 상황이니, 결코 백제를 가벼이 여겨서는 아니되느니라."


연개소문의 그 말을 들은 연정토는 다소 아쉽다는 반응을 숨기지 않았다.




시대 배경은 7세기 중후반 부터 시작하며, 주필산 전투에서 고구려가 승리하는 것으로 우리가 사는 세상의 역사와는 전혀 다른 역사를 걸어가게 되는 평행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


작가의말

이놈의 더위가 정말이지...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4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고구려가 주필산에서 당나라를 무덤으로 보냄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78 시즌 2-5장: 좋은 인재는 등용해야하는 법! +6 23.10.09 514 16 12쪽
77 시즌 2-4장: 대조영의 개혁정책 (2) +6 23.10.06 570 14 12쪽
76 시즌 2-3장: 대조영의 개혁정책 (1) +4 23.10.05 577 15 12쪽
75 시즌 2-2장: 누가 적통인가? +10 23.10.04 610 13 12쪽
74 시즌 2-1장: 세상은 여전히 역동적이다. +8 23.10.03 668 17 12쪽
73 시즌 2- 프롤로그 +10 23.10.02 717 17 11쪽
72 시즌 1-완(完): 삼국통일? 아니면 남북국? (下) +12 23.08.30 934 15 14쪽
71 시즌 1-70장: 삼국통일? 아니면 남북국? (中) +16 23.08.29 679 19 12쪽
70 시즌 1-69장: 삼국통일? 아니면 남북국? (上) +12 23.08.28 739 19 12쪽
69 시즌 1-68장: 남부여 멸망전 (2) +11 23.08.25 733 18 13쪽
68 시즌 1-67장: 남부여 멸망전 (1) +8 23.08.24 692 15 12쪽
67 시즌 1-66장: 훌륭한 도발 +5 23.08.23 701 18 12쪽
66 시즌 1-65장: 부상열도에서 벌어진 삼한부흥운동 +9 23.08.22 764 18 12쪽
65 시즌 1-64장: 난세를 종식시킬 마지막 싸움을 위한 준비 +8 23.08.21 722 17 13쪽
64 시즌 1-63장: 정신차리는 남부여 +5 23.08.18 766 20 12쪽
63 시즌 1-62장: 계림종언(鷄林終焉) +7 23.08.17 816 21 12쪽
62 시즌 1-61장: 축적된 힘을 발산할 때! +11 23.08.16 810 19 12쪽
61 시즌 1-60장: 북방의 맹호는 발톱을 숨기고 힘을 축적하니... +8 23.08.15 799 21 12쪽
60 시즌 1-59장: 왕조교체 이후에 둘러보는 고려 주변국 상황 +5 23.08.14 898 19 14쪽
59 시즌 1-58장: 대씨고려가 창건(創建)되다. +10 23.08.11 906 21 11쪽
58 시즌 1-57장: 선양하살법! VS 선양거절하살법! +9 23.08.10 784 20 13쪽
57 시즌 1-56장: 고려의 내전이 종식되다. +10 23.08.09 816 25 14쪽
56 시즌 1-55장: 연씨 집안의 견공들 +9 23.08.08 750 19 13쪽
55 시즌 1-54장: 이럴 거면 천도는 왜 했나? +8 23.08.07 755 18 12쪽
54 시즌 1-53장: 역적 연씨를 벌하라! +8 23.08.04 816 18 11쪽
53 시즌 1-52장: 하나로 뭉치는 반란군. +12 23.08.03 756 20 12쪽
52 시즌 1-51장: 대씨에게 명분과 권위가 실리다. +10 23.08.02 766 23 12쪽
51 시즌 1-50장: 대고려 시작의 땅에 입성하다. +6 23.08.01 817 20 13쪽
50 시즌 1-49장: 대씨는 높이 올라가지만, 연씨는 아래로 추락하고... +5 23.07.31 821 18 12쪽
49 시즌 1-48장: 대씨 라이징! (5) +8 23.07.28 831 18 15쪽
48 시즌 1-47장: 대씨 라이징! (4) +8 23.07.27 807 17 13쪽
47 시즌 1-46장: 대씨 라이징! (3) +6 23.07.26 824 17 14쪽
46 시즌 1-45장: 대씨 라이징! (2) +8 23.07.25 878 17 12쪽
45 시즌 1-44장: 대씨 라이징! (1) +10 23.07.24 952 22 13쪽
44 시즌 1-43장: 난세는 영웅을 출현시킨다. +10 23.07.21 997 20 14쪽
43 시즌 1-42장: 인생이란 원래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는 법! +11 23.07.20 1,015 19 14쪽
42 시즌 1-41장: 고씨고려의 종막 +11 23.07.19 1,116 20 15쪽
41 시즌 1-40장: 들어라! 해동-청구 지역은 대혼란의 시대에 돌입했다. 下 +7 23.07.18 929 23 12쪽
40 시즌 1-39장: 들어라! 해동-청구 지역은 대혼란의 시대에 돌입했다. 中 +7 23.07.18 871 21 13쪽
39 시즌 1-38장: 들어라! 해동-청구 지역은 대혼란의 시대에 돌입했다. 上 +8 23.07.14 1,083 26 11쪽
38 시즌 1-37화: 정세는 시시각각 급변하고... +5 23.07.13 1,107 21 12쪽
37 시즌 1-36화: 예기치 못한 사태 +6 23.07.12 1,084 24 12쪽
36 시즌 1-35장: 갑작스러운 충공깽과 같은 사태 +11 23.07.11 1,145 25 12쪽
35 시즌 1-34장: 위상이 터무니 없이 드높아진 연씨파 +8 23.07.10 1,199 26 12쪽
34 시즌 1-33장: 중원의 2차 백가쟁명 +8 23.07.09 1,232 30 12쪽
33 시즌 1-32장: 파괴가 있으면 새로운 창조도 있는 법! +15 23.07.08 1,309 27 11쪽
32 시즌 1-31장: 고구려와 돌궐 연합의 중원북부 대약탈전 下 +7 23.07.07 1,254 30 12쪽
31 시즌 1-30장: 고구려와 돌궐 연합의 중원북부 대약탈전 中 +6 23.07.06 1,260 27 12쪽
30 시즌 1-29장: 고구려와 돌궐 연합의 중원북부 대약탈전 上 +9 23.07.05 1,283 29 11쪽
29 시즌 1-28장: 연씨는 영웅? 아니면 역적? +5 23.07.04 1,291 30 11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