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날마다 꾸는 꿈

전체 글


[한마루이야기] 太祖王 · 次大王 시대의 `선배'제도

太祖王 · 次大王 시대의 `선배'제도

고구려의 강성은 선배 제도의 창설로 비롯된 것인데 , 그 창설한 연대는 전사에 전해지지 아니하였으나 , 조의 ( 早衣 : 다음에 자세히 설 함 ) 의 이름이 태조왕 본기에 처음으로 보였으니 , 그 창설이 태조 · 차대 두 대왕 때가 됨이 옳다 . `선배'는 이두자로 `선인 ( 先人 ) ' , `선인 ( 仙人 ) '이라 쓴 것으로써 , `선 ( 先 ) '과 `선 ( 仙 ) '은 `선배'의 `선'의 음 을 취한 것이고 , 인 ( 人 ) 은 `선배'의 `배'의 뜻을 취한 것이니 , `선배' 는 원래 `신수두' 교도의 보통 명칭이었는데 , 태조왕 때에 와서 해 마다 3 월과 10 월 신수두 대제 ( 大祭 ) 에 모든 사람을 모아 혹은 칼로 춤을 추고 , 혹은 활도 쏘며 , 혹은 깨끔질도 하고 , 혹은 태껸도 하며 , 혹은 강의 얼음을 깨고 물 속에 들어가 물싸움도 하고 , 혹은 노래하고 춤을 추어 그 잘하고 못함을 보며 , 혹은 크게 사냥을 하여 그 잡은 짐승의 많고 적음도 보아서 , 여러 가지 내기에 승리한 사람을 `선배 '라 일걷고 , `선배 '가 된 이상에는 나라에서 봉급을 주어서 그 처자를 먹여 집안에 누가 없게 하고 , `선배'가 된 사람은 각기 편대를 나누어 한 집에서 자고 먹으며 , 앉으면 고사 ( 故事 ) 를 강론하거나 학예를 익히고 , 나아가면 산수를 탐험하거나 , 성곽을 쌓거나 , 길을 닦거나 , 군중을 위해 강습을 하거나 하여 , 일신을 사회와 국가에 바쳐 모든 곤란과 괴로움을 사양치 아니한다 . 그 가운데서 선행과 학문과 기술이 가장 뛰어난 자를 뽑아서 스승으로 섬긴다 . 일반 선배들은 머리를 깎고 조백 ( 조帛 ) 을 허리에 두르고 , 그 스승은 조백으로 옷을 지어 입으며 , 스승 중의 제일 우두머리는 `신크마리'`---두대형 ( 頭大兄 ) ' 혹은 `태대형 ( 太大兄 ) '이라 일컫고 , 그 다음은 `마리'---`대형 ( 大兄 ) '이라 일컨고 , 맨 아래는소형 ( 小兄 : 본래의 말은상고할수없음 ) 이라 일컬었다 . 전쟁이 일어나면 `신크마리'가 모든 `선배'를 모아 스스로 한단체를 조직하여 싸움터에 나아가서 , 싸움에 이기지 못하면 싸우다가 죽기를 작정하여 , 죽어서 돌아오는 사람은 인민들이 이를 개선하는 사람과 같이 영광스러운 일로 보고 , 패하여 물러나오면 이를 업신여기므로 , `선배 '들이 전장에서 가장 용감하였다 . 당시 고구려의 여러 가지 지위는 거의 골품 ( 骨品 : 명문 ) 으로 얻어 미천한 사람이 높은 지위에 오르지 못하였지마는 , 오직 `선배 '의 단체는 귀천이 없이 학문과 기술로 자기의 지위를 획득하므로 , 이 가운데서 인물이 가장 많이 나 왔다 .

지금 함경북도의 재가화상 ( 在家和尙 ) 이라는 것이 곧 고구려 `선배 ' 의 유종 ( 遺種 ) 이니 , 고려도경 ( 高麗圖經 ) 에 , “재가화상 ( 在家和尙 ) 은 화상 ( 和尙 : 중 ) 이 아니 라 형 ( 刑 ) 을 받고 난 사람으로 , 중과 같이 머리 를 깎았으므로 , 화상이라 한다 .”고 하였는데 , 이는 실제와 맞는 말이다 . 그러나 형벌을 받은 사람이라고 한 것은 서긍 ( 徐兢 : 고려도경 의 저작자 , 지나 宋人 ) 이 다만 지나 한대 ( 漢代 ) 의 죄인을 머리를 깎고 , 노 ( 奴 ) 라 일컬은 글로 인하여 드디어 재가화상을 형벌받은 사람이라 억지의 판단을 한 것이다 . 대개 고구려가 망한 뒤에 `선배 '의 남은 무리들이 오히려 구 유풍 ( 遺風 ) 을 유지하여 , 마을에 숨어서 그 의무를 수행하여왔는데 , `선배 '란 명칭은 유교도에게 빼앗기고 , 그 머리를 깎은 까닭으로 하여 재가화상이란 가짜 명칭을 가지게 된 것이고 , 후손이 가난해서 학문을 배우지 못하여 조상의 옛 일을 갈수록 잊어 자기네의 내력을 스스로 증명하지 못한 것이다 .

송도 ( 松都 : 開城 ) 의 수박 ( 手拍 ) 이 곧 `선배 ' 경기의 하나이니 , `수박'이 지나에 들어가서 권법 ( 拳法 ) 이 되고 , 일본에 건너가서 유도 ( 柔道 ) 가 되고 , 조선에서는 이조에서 무풍 ( 武風 ) 을 천히 여긴 이래로 그 자취가 거의 전멸하였다 .

*신채호 조선상고사 발췌.


댓글 0

  • 댓글이 없습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 한마루이야기 | 太祖王 · 次大王 시대의 `선배'제도 13-01-09
14 한마루이야기 | 목화의 유래는? *4 13-01-08
13 한마루이야기 | 역근경(易筋經)의 신비를 벗긴다. *1 13-01-06
12 한마루이야기 | 택견의 기원. *2 12-12-30
11 일상다반사 | 기분 좋은 날 *4 12-12-17
10 한마루이야기 | 《측전무후의 미용 비법》 *2 12-12-15
9 일상다반사 | 서재탐방 *2 12-12-15
8 일상다반사 | 추억 12-12-15
7 한마루이야기 | 갓쉰동전-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발췌. *1 12-12-14
6 한마루이야기 | 규염객전. *1 12-12-14
5 한마루이야기 | 역근경. 당나라 정관 2년 3월 3일 이정은 서문을 쓰다. *1 12-11-30
4 한마루이야기 | 소림무술의 유래 *4 12-11-30
3 한마루이야기 | 짱꼴라(淸國奴)와 까오리빵즈(高麗棒子) 이야기 *4 12-11-30
2 한마루이야기 | 중국의 한국욕 고려봉자( 高麗棒子 )의 유래에 대하여 *3 12-11-30
1 한마루이야기 | 까우리라는 말 *8 12-11-30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