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날마다 꾸는 꿈

전체 글


[한마루이야기] 목화의 유래는?

文益漸
1329(충숙왕 16)~1398(태조 7).
고려말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호는 삼우당(三憂堂). 아버지는 숙선(淑宣)이다.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여 김해부사록(金海府司錄)·순유박사(諄諭博士)를 거쳐 1363년에 좌정언(左正言)으로 계품사(啓稟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원나라에 갔다. 이때 원나라에서 공민왕을 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아들인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세워 고려로 진군하게 하자 이를 지지했는데, 덕흥군이 패했다. 문익점은 그뒤 귀국했다가 그 혐의로 파직되었다.
귀국할 때 금수품이던 목화씨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진주에서 장인인 정천익(鄭天翼)과 함께 3년 만에 목화재배에 성공했다. 처음에는 목화에서 씨를 제거하고 실을 뽑을 줄 몰랐으나, 정천익이 호승(胡僧)·홍원(弘願)에게 씨를 빼는 씨아[取子車]와 실을 뽑는 물레[繅絲車]를 만드는 방법을 배워 이를 보급시켰다. 목화가 널리 전해짐으로써 일반 백성들의 의복 재료가 종래의 삼베[痲布]에서 무명[綿布]으로 바뀌게 되었다. 목면을 보급한 공으로 1375년(우왕 1) 전의주부(典儀注簿)에 임명되었으며, 1389년(창왕 1) 좌간의대부를 지냈다. 그러나 전제(田制)개혁 문제를 둘러싸고 이성계파와 이색·우현보 등의 의견이 갈라졌는데, 이색 등과 함께 사전(私田) 혁파를 반대하다가 조준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조선 태종 때 그의 공을 기려 참지의정부사·예문관제학·동지춘추관사·강성군(江城君)을 추증하고, 두 아들을 사헌부감찰로 발탁했다. 1440년(세종 22)에는 영의정과 부민후(富民侯)를 추증했고 충선공(忠宣公)이라 시호를 내렸다.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의 문익점면화시배지가 사적 제108호로 지정되어 있고, 이곳에 삼우당선생면화시배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목화의 전래와 재배, 가공 등에 대한 내용이 〈목면화기 木棉花記〉에 실려 있다.
문익점이 목면을 전래했다는 것에 대해 고려 이전 시기에 이미 목화가 재배되고 있었다는 이설이 있다. 그러나 고려 이전 시기의 기록에 나타나는 면포(綿布)는 대개 누에실에서 뽑아낸 사면(絲綿)을 일컬으며 이 목면포(木綿布)는 중국에서도 송말(宋末)·원초(元初)에 처음 보급되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목화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말이라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윗 글은, 다음 백과서전에 기록된 문익점에 관한 기사다.
 
우리나라 목화가 문익점의 붓뚜껑 속에서 시작됐다는 말인데, 異說이 있다는 단서가 붙어있지만, 사면이라는 말로 얼버무릴 수 있는지 심히 궁금하다.
後漢書卷85-東夷列傳第75-濊 조에 보면,  耆舊自謂與<句驪>同種知種麻, 養蠶, 作緜布라 하여 구려와 같은 종족인 예에서 마를 심고, 누에를 쳤으며, 면포를 지었다는 글이 분명히 보인다.  또한 後漢書卷85-東夷列傳第75-韓(馬韓)편을 보아도,  <馬韓>人知田蠶, 作緜布라 하여 양잠과 면포를 지었다는 글이 분명히 보인다. 여기서 말하는 作綿布라는 말이 설마 비단을 짜고 남은 짜투리 실을 이르는 사면은 아닐 터이다. 이와 비슷한 기록들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여기서 나오는 句驢, 馬韓 등이 우리 조상님들이고, 또한 면직물을 사용하고 있다면, 대체 문익점이 붓뚜껑에 숨겨 들여온 목화씨는 어떤 종류일까? 아니면, 고려 이전에 목화재배가 단절되었다가 다시 들여왔다는 말인가?  이라는 글자에 다른 뜻이라도 있단 말인가? 서기 이전에 이미 재배되어 옷감으로 썼던 목화씨를 고려 사람 문익점이 최초로 들여왔다는 말은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다.
윗 글은 내가 전에 고구려인들의 생활상에 관해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다 느낀 의문을 블러그에 기록해 둔 내용이다. 날짜를 보니 2009년 08월08일이었다.
그로부터 일년 후.
 
문익점 800년 앞선 유물, 면직물역사 다시써야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고려말인 14세기 후반 문익점(1329~1398)에게서 비롯됐다는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무려 800년이나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국립 부여박물관(관장 강대규)은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1999년 능산리 절터 제6차 조사에서 수습한 직물(폭 2㎝, 길이 약 12㎝)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정용재 교수) 팀과 함께 주사 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돼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유물이 목화에서 실을 뽑아 독특한 방법으로 직조됐음을 가리키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면직물의 재료가 되는 목화는 역사적으로 14세기 후반에 문익점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이다. 제작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1330~1374) 때로 추정됐다.
그러나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 층에서 출토된 이번 면직물이 확인됨에 따라 한국의 면직물 역사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이 면직물과 함께 출토된 ‘창왕명 사리감’의 제작년도가 567년임을 감안할 때 문익점보다 무려 800년이나 앞서는 국내 최고(最古)의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강조했다.
박물관은 “이번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이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어 이 직물을 통해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성과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기사등록 일시 : [2010-07-15 11:08:12] /newsis.com All rights reserved
 
신화의 땅을 끄적이다 나도 모르게 솜옷과 솜이불이라는 말을 써놓고 “이게 맞을까?‘” 라는 의심으로 좀 더 자세히 찾아보던 과정에서 발견한 기사들이다. 나의 추측과 국립부여박물관의 발견이 맞다면, 발해 성립시기의 사람들인 한마루 등의 옷에 솜이 들어가고, 솜이불을 덮었을 것임도 충분히 추측해볼 수 있기에 여기에 다시 옮겨본다.

댓글 4

  • 001. Personacon 하늘봉황

    13.01.09 13:04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002. Personacon 작은불꽃

    13.01.11 11:07

    그렇다면 신라의 삼국통일이 이뤄지면서 면직 기술을 상실한 것인가요?
    안타까운 일이군요.
    아... 그리고 한가지 의문은...
    그 당시에도 교역을 통해 중국의 면제품이 들어오지 않았을까요?
    출토된 유물이 오로지 우리나라의 제품이라는 근거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물론 고대에서 발견된적없는 직조방법이라는 말은 있지만 말입니다.

  • 003. Personacon 고명윤

    13.01.11 11:57

    면직기술의 유래와 전승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은 확실히 안타까운 일이겠죠.
    교역을 통한 면제품일 수도 있을까라는 작은불꽃님의 의문을 보고 저는 좀 놀랐네요.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유물이고, 중국에도 없는 직조방식이라는 국립박물관의 확신이 있음에도 굳이 의문을 표시한다는 사실이 아연스럽고, 또 한편으로는 슬프기까지 하네요. 관심을 가지고 좀 더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맙습니다.

  • 004. Personacon 水流花開

    13.01.24 00:15

    위사가 심하게 꼬여 있다는 것이 목화솜에서 실을 뽑아썼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런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있지만,
    꼬여 있으니, 목면에서 나온 거라고 추리하기 보다는,
    섬유에서 유전자 검사 같은 것을 해서 알 수는 없는 것인지...

    흥미로운 글 잘 읽었습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15 한마루이야기 | 太祖王 · 次大王 시대의 `선배'제도 13-01-09
» 한마루이야기 | 목화의 유래는? *4 13-01-08
13 한마루이야기 | 역근경(易筋經)의 신비를 벗긴다. *1 13-01-06
12 한마루이야기 | 택견의 기원. *2 12-12-30
11 일상다반사 | 기분 좋은 날 *4 12-12-17
10 한마루이야기 | 《측전무후의 미용 비법》 *2 12-12-15
9 일상다반사 | 서재탐방 *2 12-12-15
8 일상다반사 | 추억 12-12-15
7 한마루이야기 | 갓쉰동전-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발췌. *1 12-12-14
6 한마루이야기 | 규염객전. *1 12-12-14
5 한마루이야기 | 역근경. 당나라 정관 2년 3월 3일 이정은 서문을 쓰다. *1 12-11-30
4 한마루이야기 | 소림무술의 유래 *4 12-11-30
3 한마루이야기 | 짱꼴라(淸國奴)와 까오리빵즈(高麗棒子) 이야기 *4 12-11-30
2 한마루이야기 | 중국의 한국욕 고려봉자( 高麗棒子 )의 유래에 대하여 *3 12-11-30
1 한마루이야기 | 까우리라는 말 *8 12-11-30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