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윈드윙 님의 서재입니다.

전체 글


[스포츠 쓴것] 애매한 KCC... 리빌딩과 우승도전 사이

태풍 승진.jpg  KCC는 전태풍, 하승진을 활용하는데 있어 예전과는 조금 다른 방향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전주 KCC


프로농구 전주 KCC는 현재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 프로구단이라면 어느 정도 방향을 잡아야할 리빌딩과 성적내기 중에서 가중치를 결정해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직은 시즌초인지라 향후 설계는 좀 더 경기를 치르면서 진행하겠지만 적어도 어느 정도의 설정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자칫 한쪽으로 잘못 기울어지면 향후 긴 암흑기가 올지도 모른다.

물론 KCC는 우승도전을 멈출 수는 없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 우승,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이라는 성적을 냈고 팀 내 주축선수인 전태풍(36·178cm), 하승진(31·221cm)이 적지 않은 나이인지라 더 노쇠화하기 전에 뭔가 성적을 만들어내야 하는 상황이다.

에이스 용병 안드레 에밋(34·191cm) 또한 노장에 속하고 외국인선수의 특성상 언제까지나 함께할 수는 없다. 그나마 이 셋을 활용할 수 있을 때가 우승 적기이기는 하다.

성적은 노리되 젊은 선수 주축으로 새로운 판 구성도 중요

문제는 팀 내 간판급인 전태풍, 하승진의 기량 저하 및 몸 상태가 예상보다 더 빨리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태풍은 미국 본토에서 농구를 배운 선수답게 기본기가 튼튼하고 국내선수과 확연한 차이가 날만큼 빼어난 드리블 실력을 갖추고 있다. KCC에서 허재 감독과 함께 할 때만해도 컨디션이 좋은날은 내외곽에서 펄펄 날며 어지간한 단신 외국인 선수급 활약을 펼쳤다. 전태풍이 있다는 것은 용병 한명을 더 쓸 수 있는 효과까지 발휘됐다.

하지만 현재의 전태풍은 시즌이 거듭될수록 위력이 떨어지고 있다. 본래 센스보다는 운동능력에 많이 의지하는 공격형 가드라 득점력이 떨어지니 장점은 잘 안보이고 단점만 더욱 부각된다.

성격은 밝은 편이지만 경기장 안에서는 감정 기복이 심해 플레이가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스스로 흥분하고 흔들리며 동료들까지 불안하게 한다. 거기에 최근에는 크고 작은 잔부상에 시달리는 것을 비롯 체력문제까지 드러내며 컨디션이 좋아보이는 날 조차 경기 내내 페이스를 가져가지 못한다. 때문에 추승균 감독은 최근 들어 전태풍보다 이현민(33·173cm)을 더 중용하고 있다. 어차피 둘 다 수비가 좋지 못한 단신가드라면 좀 더 냉정하고 리딩에 능한 이현민 쪽이 낫다.

비록 지난 시즌 좋은 성적을 올리는 데 크게 일조하기는 했지만 하승진은 더 이상 예전의 괴물이 아니다. 큰 사이즈를 바탕으로 외국인 선수와 몸싸움이 가능하고 골밑근처에서 공을 잡으면 확률 높은 슛을 성공시킬 수 있는 선수이기는 하지만 용병은 물론 토종 선수들까지 이중 삼중으로 수비를 들어가던 시절의 위력은 사라졌다.

예전의 하승진은 약점도 뚜렷했지만 장점이 워낙 대단해 경기장에서 뛰고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두려운 존재였다. 워낙 체격이 커서 몸이 늦게 풀리고 늘상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승진이 제대로 뛰어준 날은 어느 팀도 감당이 안됐다. 당연히 KCC의 주축 전술은 하승진 중심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었고 '슬로우 스타터'라는 원치않는 팀 색깔까지 얻었다.

예전만큼 위력이 없는 하승진은 상대적으로 단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과거보다도 순발력이 더 떨어지는지라 골밑에서 더블팀이 들어오면 허둥지둥하다 공을 빼앗기거나 흘리는 것을 비롯 상대 선수가 거리를 두고 슈팅을 날리면 속수무책으로 당하기 일쑤다. 워낙 걸음이 느려 공수전환도 느려 상대의 속공시 투명인간(?)이 되고 만다.

지난 챔피언결정전 당시 이승현(24·197cm)이 어느 정도 몸싸움을 대등하게 가져간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파워역시 예전처럼 압도적이지는 않다.

아직 시즌 초이기는하지만 하승진은 부상으로 코트에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있다. 전태풍 역시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시즌부터 거론됐던 전태풍, 하승진의 식스맨화가 좀 더 빨라져야 할지도 모르는 이유다.

여전히 베테랑은 큰 경기에서는 필요하다. 매번 부진한 것은 아니라 좋은날의 전태풍, 하승진은 여전히 무서운 옵션이다. 다만 중요한 순간 그들을 쓰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전태풍, 하승진의 체력 및 몸 관리는 필수가 됐다.

현재 KCC는 성적은 1승 3패로 부진하지만 이현민을 주축으로 주태수(34·200cm) 등 이적생들이 쏠쏠한 활약을 펼치며 경기를 치를수록 팀플레이가 맞아가는 모습이다. 거기에 팀의 미래 송교창(20·201cm)이 예상보다 더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주눅이 들어 제 플레이를 펼치지 못하던 지난 시즌과 달리 이제는 젊은 선수답게 자신감 넘치는 움직임을 과시 중이다. 거기에 김지후(24·187cm), 김민구(25·191cm)의 색깔 다른 젊은 슈터진도 회복세에 있다. 특히 교통사고 후 몸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지 않은 김민구는 자질과 기량만큼은 확실한 선수라 계속적으로 경기에 투입하며 최대한 컨디션을 끌어 올려야 된다는 지적이다.

송교창, 김민구, 김지후 외에 군에서 돌아올 박경상(26·180cm)도 키울 가치가 있는 선수이며 비록 지금은 상무에 입대한 정희재(25·195cm)도 팀내 미래로서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줬다.

KCC는 선수층이 두터운 편도 아니고 과거 KGC처럼 전략적으로 유망주들을 모으지도 못했다. 현재 풀 전력을 동원해도 우승후보 오리온, KGC, 삼성 등을 이긴다고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 자칫 노장 중심으로 시즌을 운영하다 우승에도 실패한다면 내년시즌부터는 더 암울해질 수도 있다.

성적에 대한 것은 포기하지말되 최대한 젊은 선수들을 성장시키며 함께 할 수 있는 지혜로운 운영이 필요한 이유다.


-문피아독자 윈드윙-


댓글 0

  •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1027 영화-미디어 쓴것 | 히어로 영화 전성시대, 이 영화를 다시 봐야 할 이유 16-11-03
1026 스포츠 쓴것 | SK 최준용, 서태웅인줄 알았는데 강백호? 16-11-01
1025 격투기 쓴것 | UFC ‘빅유닛’ 임현규, 사이즈에 맞게 싸워라 16-11-01
1024 스포츠 쓴것 | KCC 우승도전의 열쇠, 결론은 하승진 16-10-31
» 스포츠 쓴것 | 애매한 KCC... 리빌딩과 우승도전 사이 16-10-29
1022 스포츠 쓴것 | 제2의 맥도웰 찾은 삼성, 우승후보 급부상 16-10-28
1021 스포츠 쓴것 | 에밋·하승진 빠진 KCC구한 라이온스, '빅샷' 두 방 16-10-28
1020 스포츠 쓴것 | KCC의 또 다른 칼, 전태풍의 '올바른' 사용법 16-10-26
1019 스포츠 쓴것 | 전자랜드·SK, 빠른 농구로 다크호스 도약? 16-10-25
1018 격투기 쓴것 | 헤비급 격투가 오브레임과 한국정통 택견의 만남 16-10-25
1017 스포츠 쓴것 | 무기력한 라이온스, 테크니션은 에밋과 상극? 16-10-25
1016 스포츠 쓴것 | '2연패' 전주 KCC… 이제는 송교창을 키워야 한다 16-10-23
1015 스포츠 쓴것 | 바셋 날고 에밋은 울고... 프로농구 개막전 흥미진진 16-10-23
1014 격투기 쓴것 | ‘최고 경계’ UFC 최두호, 스완슨에게 안 당하려면 16-10-23
1013 스포츠 쓴것 | 진격의 SK, 2순위 출신 쇼타임 개시? 16-10-22
1012 격투기 쓴것 | UFC, 맥그리거 말하는대로...‘시빌워’ 발발? 16-10-16
1011 격투기 쓴것 | 벨포트 눕힌 무사시의 '진짜 매력' 16-10-15
1010 스포츠 쓴것 | '부릉부릉' KIA 나지완·안치홍, 가을 유전자 꿈틀 16-10-11
1009 스포츠 쓴것 | "LG 재워라" KIA 선봉 헥터, 제2의 로페즈 될까 16-10-11
1008 스포츠 쓴것 | 포워드 왕국의 마지막 방점! 강한 가드 16-10-09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