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소모사의 서재입니다.

골동품 덕에 인생역전

웹소설 > 작가연재 > 현대판타지, 퓨전

공모전참가작

소모사
작품등록일 :
2024.05.08 10:03
최근연재일 :
2024.05.28 23:20
연재수 :
23 회
조회수 :
66,792
추천수 :
1,509
글자수 :
126,480

작성
24.05.08 10:12
조회
5,448
추천
97
글자
9쪽

심마니의 곡괭이

DUMMY

번쩍..


콰아앙..


“환자가 눈을 떴어요.”

“여긴 어디죠?”


“정신이 들어요?”

“예?”


“여긴 병원입니다. 저는 의사고요. 이름이 뭐죠?”

“최진수요.”


“학생인가요?”

“예, 복학생입니다.”


“어떻게 여기 오셨는지 기억이 나세요?”

“뭔가 번쩍 하고..그리고 천둥이 친 것 같은데..”


“번개에 맞으셨어요. 그래도 운이 좋으세요. 번개가 관통을 했는데 몸에는 별다른 이상은 없는 것 같거든요.”


진짜로 번개에 맞은 건가?


마지막 기억으로는 그런 것 같았다.


의사는 큰 이상은 없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하루 동안 입원을 해서 간단한 검사를 받아보자고 했다.



***


“이제 퇴원해도 되는 겁니까?”

“예, 현재로서는 큰 문제는 없는 것 같네요. 불편한 곳이나 이상한 곳은 없으시죠?”


“그게.. 좀 이상한 게 보이기는 하는데. 괜찮을 것 같습니다.”


“뭐가 보이는데요?”

“그냥, 뭔지 모를 이상한 것들이 보이기는 하는데..원래 좀 상상력이 풍부한 편이라 몽상 같은 걸 많이 하거든요.”


“음, 환각 같은 거 말인가요?”

“좀 피곤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가끔 그럴 때가 있거든요.”


“내 손을 잡고 힘을 줘보세요.”

“이렇게요?”


“예, 악력도 좋고 컨디션은 문제가 없는 것 같네요. 걷는 것도 문제는 없죠?”

“예...하하..와우..”


“왜요?”

“아닙니다. 몸은 이상 없습니다. 몸매가.. 아니 몸은 좋습니다.”


역시나 환각인가? 하지만 너무 생생했다. 마치 VR을 보는 것처럼 이번에도 역시 손이었다. 번개에 맞은 후로 손에 뭔가 닿을 때마다 이상한 것들이 보이고는 했다.


지금 본 것은 마치 야동의 한 장면 같은 모습...


하지만 보통 야동이 아니라 나도 본 적이 있는 간호사의 알몸이 보이고 있었다. 장소는 의사의 진료실..


보기보다 그 간호사는 글래머였다.



***


황학동 시장


다행히 학교에서는 내가 번개에 맞아서 입원까지 한 사실을 아무도 모르고 있었다. 시골에 계시는 부모님도 역시 모르고 있었고 그저 하룻동안 병원에서 지내다 나온 것뿐이었다.


의사 말대로 운이 좋았던 건지 별다른 이상은 없었다. 그러니까, 다른 외상이나 그런 것들 말이다.


하지만 번개 때문일까?


뭔가 이상한 일이 일어난 것은 확실했다. 손..


손에 뭔가가 닿을 때마다 그게 사람이든 물건이든, 어떤 기억 같은 것이 보이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갑작스럽게 머릿속으로 들어오는 그런 정보들이 감당이 안 될 정도였지만 곧 그걸 통제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었다.


말로는 설명하기 힘들지만 뇌파를 조정한다고나 할까?


정신을 집중하면 그런 환상들을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마치 머릿속에 스위치가 있는 것처럼 내가 필요할 때만 그런 환상들을 볼 수 있는 경지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거 신기하네요. 뭐에 쓰는 건가요?”

“심마니들이 쓰는 곡괭이야. 산에 갈 일이 있으면 이걸로 약초도 캐고 그럴 수도 있지.”


“심마니면 산삼 그런 거 캐는 거 아닌가요?”


나는 오래되어 보이는 곡괭이를 집어 들었다. 얼핏 낫처럼도 보이고 호미처럼도 보이는데 그 중간이라고 할 수 있는 도구였다.


산에서 약초를 캘 때 쓰는 물건인 것 같았다.


요즘에 나온 것 같지는 않고 예전에 대장간 같은 곳에서 만들었을 법한 골동품이었다.


내가 손을 대자 또다시 환상이 보였다.


“와, 명호 아저씨는 또 산삼을 캐셨네요. 비법이라도 있으신 겁니까?”

“비법은, 무슨, 열심히 돌아다니면서 찾는 거지. 자네도 열심히 하다 보면 산삼도 캐고 그럴 거야.”


“하하, 전 아무리 찾아도 산삼은 못 찾겠더라고요. 전 그냥 약초나 찾으러 다니려고요.”


지라산에서 유명한 심마니였던 장명호, 이 오래된 곡괭이의 주인은 왕년에 지리산 최고의 심마니로 불리던 사람이었다.


내가 보고 있는 것은 단순한 환상이 아니었다. 오래된 기억을 보고 있는 것이었다.


“이거 맘에 드네요. 이 곡괭이 얼마인가요?”

“만 원만 내슈,”


“여기 있습니다.”



***


지리산



내가 보는 것이 막연한 환상인지, 아니면 진짜 어떤 오래된 기억을 보는 건지 확인하고 싶었다.


번개를 맞고 일종의 사이코메트리 능력이 생긴 것 같았다.


물건, 혹은 사람과 접촉하면 그러니까 손에 닿게 되면 과거의 기억을 보게 되는 것이다.


마치 물건에 접속을 한다고나 할까?


USB 같은 것을 꽂은 것처럼 그 물건에 손을 대고 있는 동안은 그 물건에 있는 과거의 기억에 접속할 수 있었고 그 기억을 열람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가 있었다.


처음 와보는 지리산이었지만 심마니 장명호의 곡괭이 덕분에 마치 제집처럼 자유롭게 산을 오를 수가 있었다.


대도시와 달리 지리산은 장명호가 활동하던 수십 년 전이나 크게 달라진 것도 없었다.


나는 익숙하게 산을 오르며 산삼 군락을 찾아 나섰다,


장명호의 기억 속에 산삼이 모여 있던 군락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산삼은 원래 인삼과 같은 종이다. 인삼의 씨앗 같은 것이 새들에 의해 산으로 옮겨지게 되면서 산속에서 천천히 자라나는 변종인 셈이었다.


주로 음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산삼이 귀하고 비싸게 거래되는 이유도 희소성이 있기 때문인데..


보통은 하나를 찾기도 힘든 것이 산삼이지만 오래된 산삼은 씨앗을 통해 아들삼과 손자삼을 번식시키고 하기 때문에 종종 군락을 이루기도 한다.


운이 좋은 심마니들은 이런 산삼군락을 찾기도 하는데


산에서 마치 보물창고를 찾은 셈이다.


장명호도 우연히 찾은 이 산삼군락 덕분에 큰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큰 삼 몇 개와 작은 삼들은 나중을 위해 남겨두었는데..


그게 벌써 30년 전의 일이었다.


진수는 장명호의 곡괭이를 들고는 과거의 기억을 쫓아 깊은 계곡으로 들어갔다. 계곡으로 들어가자 험한 암반이 나왔지만 개의치 않고 더 깊이 들어갔다.


그리고 드디어 암반 뒤쪽에서 산삼군락을 발견할 수 있었다.



“와..진짜로 산삼이 있잖아. 굉장한데..”


지리산에도 처음이지만 산삼도 처음 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심마니의 곡괭이에 손을 대고 있는 동안은 노련한 심마니였던 장명호의 기억을 내 것처럼 사용할 수 있었다.


장명호의 과거에 접속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었다.


진짜였구나? 모든 게 환상이 아니라 진짜 과거의 기억들을 보는 거였어?



역시 그 간호사의 알몸도 진짜였던 건가?


하지만 지금 중요한 건 30뿌리는 족히 될 것 같은 이 산삼들을 캐는 일이었다. 심마니의 곡괭이 덕분에 산삼을 캐는 방법도 모두 알게 되었고, 나는 능숙하게 뿌리가 상하지 않게 산삼들을 모두 캐서 배낭에 담을 수 있었다.




***


대청 약초상회



“산삼을 캤는데 좀 보시겠습니까?”

“산삼요?”


예전에 자주 왔던 약초상, 그러니까 장명호가 자주 거래를 하던 약초상이었다. 하지만 벌써 30년 전의 일이었고 지금은 예전 주인의 아들인 것 같은 남자가 주인이었다.


“뇌두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100년 넘은 모삼들과 30년짜리 지삼들입니다. 다 합쳐서 32뿌리입니다.”


“와..이걸 다 어디서 캔 겁니까?”

“산에 갔다가 운 좋게 발견했네요. 산삼군락을 찾은 거죠.”


“대학생처럼 보이는데 산삼에 대해서도 잘 아는 모양이네요.”

“아버지가 심마니셨거든요.”


아버지는 고향에서 과수원을 하시는데 대충 그렇게 둘러댔다.


장명호의 지식으로 산삼에 대해서도 잘 아는 것처럼 말할 수가 있었고 그래서인지 어렵지 않게 약초상과의 거래도 이루어졌다.


“산삼이라는 게 정해진 가격은 없습니다. 아버지가 심마니셨다니 아시겠지만. 나중에 제대로 임자를 만나면 더 비싸게 받을 수도 있죠. 그래도 저희도 장사를 하는 입장이니까, 32뿌리 다 합쳐서 5억이면 어떻습니까?”


“5억요?”


뭐야? 그렇게 비싸? 이게 대박인데..


산삼 가격이야 구매자를 잘 만나면 천정부지로 가격이 오르기도 하지만 이 정도면 나쁘지 않은 가격인 것 같았다.


내가 개인적으로 파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고, 일단 그 정도면 가난한 복학생인 나에게는 엄청난 대박이었다.


“좋습니다. 5억이면 나쁘지 않네요.”


나는 표정 관리를 하며 정식으로 산삼 매매계약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7

  • 작성자
    Lv.88 현현상태
    작성일
    24.05.10 10:33
    No. 1

    제발 이번만은 완결을?.?

    찬성: 4 | 반대: 0

  • 작성자
    Lv.92 마도폭풍
    작성일
    24.05.10 11:08
    No. 2

    산삼이 인삼과 같은 종인 건 맞습니다만 산삼이 인삼의 변종은 아닙니다.

    원래 - 삼은 산삼밖에 없었죠. 이 삼의 씨앗은 붉은 색인데 이게 새들을 유혹하기 좋아요. 새들인 이 삼의 씨앗을 먹고 하늘을 날다 아무렇게나 갈기면 이것이 다른 곳에 떨어져 거기서 싹을 틔우고 번식을 합니다.
    즉, 인삼의 씨앗을 새들이 먹고 떨어져 그것이 산삼이 되는게 아니라, 원래 삼이란 식물 자체가 자연적으로 새들에 의해 번식되도록 발달된 식물인거죠.

    그 산삼의 씨앗을 인간이 받아서 인위적으로 길러낸 것이 바로 인삼입니다. 즉, 산삼이 인삼의 변종이 아니라, 인삼이 산삼의 재배종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이 인삼과 자연삼-산삼과의 차이는 아마 없을 겁니다. 다른 작물처럼 딱히 특정 방향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개량되진 않은 작물이니까요)

    뭐, 이건 다소 마니악한 내용이지만 삼은 대개 3가지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천종삼, 지종삼, 인종삼 이라고 하지요.

    천종삼은, 말 그대로 야생 그 자체로 자라난 자연삼을 의미합니다. 새들이 높이 날다가 씨앗을 떨어뜨리는 탓에 발견되기 어려운 곳에서 싹을 틔워 자라나죠. 그것은 골짜기 일 수도 있고 벼랑 위 일 수도 있습니다. 발견되기 어렵기에 이것이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누군가 채취하기도 쉽지 않죠.
    인삼의 자연수명은 6년이라고 합니다. 6년이 지나면 뿌리가 썩어요. 그래서 뿌리가 썩기 전 가장 큰 6년에 수확해 판매를 하죠.
    과연 산삼은 다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같은 종이니까요. 밭에서 자라나 산에서 자라나 결국 같은 식물이니 기본 수명은 같다고 봐야 합니다. 오히려 냉해에 약한 만큼 인간에 의해 보호되는 인삼에 비해 더 쉽게 죽을 겁니다. 결국 오래된 산삼이란, 전체 자연파종 된 인삼 중 새 해의 냉해를 견뎌낸 전체중의 일부가 다시 자연수명 6년을 극복해 내고 살아남은 극히 드문 강인한 개체를 의미합니다. 그 확률은 아마도 매우 희박하겠죠. 그래서 '천종' 산삼입니다. 하늘이 뿌리고 하늘이 지켜내지 못하면 결코 만들어 질 수 없기 때문이죠.(일각에서 산삼의 자연수명을 100년이라고 합니다. 이는 아마 삼이라는 종의 자연수명 6년과 한기에 취약한 특성을 극복해 낸 일부 개체에 대한 것이 아닐까 싶어요.)

    인삼의 씨앗을 받아 밭이 아닌 산에 뿌리고 자연스럽게 자라나게 한 것을 지종삼이라고 합니다. 흔히들 장뇌삼이라 불리우는 것이 바로 이것들이죠. 따지고 보면 산삼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인간이 돌보지 않아 냉해에 약한 개체들이 자연소멸되게 하며 또 일반수명 6년을 견뎌낸 것들만 자라나도록 한다는 점에서요. 하지만 굳이 구분하는 이유는, 흔히 말하는 산삼 처럼 수 십년을 자라기까지 지켜내기 쉽지 않아 그 전에 뽑아내기 때문이겠죠.

    인종산삼은 인삼을 말하죠. 사람이 심고 기르는 것....

    찬성: 12 | 반대: 0

  • 작성자
    Lv.95 다주리
    작성일
    24.05.15 07:47
    No. 3

    마도폭풍님의 설명이 맞습니다.
    오래 전에는 '삼'이라는 식물은
    산삼이니 인삼이니 하는 구분이 없었습니다.
    그저 야생의 삼 뿐이었으니까요.
    그러다가 1392년 고려시대에 재배에 성공했고, 사람이 재배한 삼은 인삼 .
    야생의 삼은 산삼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다만, 저는 인삼과 산삼의 약효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6백년이상 동안 다른 환경(산 vs 밭)에 격리되어 번식하여왔는 데, 변이가 생기지 않으면 그게 이상한 일이죠.
    특히 밭에서 키우는 식물은 더 크고 더 빨리 성장하는 방향으로 농부에 의한 선택압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9 열대우림
    작성일
    24.05.19 15:41
    No. 4

    믿고 거르는 소모사
    이 작가는 쓰다가 날리고 쓰다 날리고 무한반복합니다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90 경주김씨
    작성일
    24.05.19 16:23
    No. 5

    아니 어떻게 인삼의 씨앗을 새가 먹고 산에 싸지른게 산삼이라고 생각한다냐?
    산삼에서 나온게 인삼이지 인삼에서 나온게 산삼이냐?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0 경주김씨
    작성일
    24.05.19 16:30
    No. 6

    리메하긴 했는데 전에 부모 이야기만 쏙 빠버렸네 전에는 산삼캐서 시골에 있는 부모님한테 한뿌리도 안 드리고 팔아치우고 혼자서 온갖 사치하고 디녀서 댓글에 욕 진탕 먹더니 아예 부모 이야기는 싹 도려냈구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아즈가로
    작성일
    24.05.22 16:39
    No. 7

    허가받지 않은 사람은 국립공원에서 임산물 채취가 불법입니다

    찬성: 2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골동품 덕에 인생역전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공지 5월 25일은 휴재입니다 24.05.25 68 0 -
공지 리메이크입니다 +2 24.05.08 2,690 0 -
23 미래를 보는 매니저 (1) +3 24.05.28 1,191 46 12쪽
22 아들러의 안경 (3) +5 24.05.27 1,455 41 13쪽
21 아들러의 안경 (2) +2 24.05.24 1,822 55 13쪽
20 아들러의 안경 (1) +1 24.05.23 1,936 58 10쪽
19 인디언 주술사 (3) +5 24.05.22 2,143 52 12쪽
18 인디언 주술사 (2) +3 24.05.21 2,199 58 13쪽
17 인디언 주술사 (1) +3 24.05.20 2,276 60 12쪽
16 플라이 미 투 더 문 (4) +1 24.05.19 2,344 60 12쪽
15 플라이 미 투 더 문 (3) 24.05.18 2,352 60 16쪽
14 플라이 미 투 더 문 (2) +2 24.05.17 2,420 54 17쪽
13 플라이 미 투 더 문 (1) +6 24.05.16 2,591 57 13쪽
12 기타 레슨 +2 24.05.15 2,613 62 11쪽
11 음악천재의 기타 (4) +1 24.05.14 2,745 77 12쪽
10 음악천재의 기타 (3) +4 24.05.13 2,901 73 12쪽
9 음악천재의 기타 (2) +2 24.05.12 3,078 75 11쪽
8 음악천재의 기타 (1) +2 24.05.11 3,299 70 13쪽
7 하이엔드 타임즈 (2) +4 24.05.10 3,564 70 13쪽
6 하이엔드 타임즈 (1) +1 24.05.09 3,699 81 12쪽
5 로마네 콩티 (2) +2 24.05.08 3,742 73 12쪽
4 로마네 콩티 (1) +2 24.05.08 4,124 67 12쪽
3 람보르기니 타고 코인대박 (2) +2 24.05.08 4,175 81 9쪽
2 람보르기니 타고 코인대박 (1) +5 24.05.08 4,638 82 11쪽
» 심마니의 곡괭이 +7 24.05.08 5,449 97 9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