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한새로 님의 서재입니다.

아시나요


[아시나요] '게'와 '-ㄹ게'

오늘은 ‘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옆으로 기어 다니는 ‘게’가 아니라 우리가 흔히 ‘께’, ‘꺼’로 쓰는 ‘게’ 혹은 ‘거’이지요.


우선 ‘게’를 쓰는 경우는 “내가 할게.”처럼 ‘-ㄹ게’의 경우와 “그런 게 아니야.”처럼 ‘것이’의 준말이 대부분입니다. 뭐, 사전적으로는 ‘거기’의 준말도 ‘게’이고 ‘에게’의 준말도 ‘게’이지만, 이 두 가지는 틀리는 경우를 보기 어려운 관계로, 앞서 언급한 두 가지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합니다.


흔히 보는 실수로 ‘할게.’, ‘먹을게.’, ‘잘게.’, ‘갈게.’ 등을 ‘할께.’, ‘먹을께.’, ‘잘께.’, ‘갈께.’ 등으로 쓰는 것인데 이는 전부 어간에 ‘-ㄹ게’를 붙이는 형태이므로 ‘게’를 써야 합니다. ‘께’ 쓰시면 틀립니다.


또한, 두 가지 ‘게’ 중에 ‘것이’의 준말인 ‘게’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합니다.

“할 게 뭔데?”

“내가 할게.”

두 예에 모두 ‘할게’가 들어가 있지만, 위의 예는 ‘할 것이’의 준말이라 띄어 썼고, 아래 예는 어간 ‘하다’에 ‘-ㄹ게’가 붙은 형태이므로 붙여서 ‘할게.’라고 쓰셔야 합니다.


복잡한 듯하지만, 실제로 ‘것이’로 풀어서 문맥이 이어지면 무조건 띄어 쓴다는 사실만 염두에 두시면 틀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뭐, 그렇다구요. ^^



댓글 0

  • 댓글이 없습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31 아시나요 | ‘-시-’ 13-01-21
30 아시나요 | '뿐' 13-01-20
29 아시나요 | ‘해보다’와 ‘해 보다’ *3 13-01-19
» 아시나요 | '게'와 '-ㄹ게' 13-01-18
27 아시나요 | ‘이따’와 ‘있다’ 13-01-17
26 아시나요 | ‘어떠하다’ 13-01-16
25 아시나요 | ‘못하다’와 ‘못 하다’ 13-01-15
24 아시나요 | '니가?', '너가?', '네가!' *1 13-01-14
23 아시나요 | ‘결제決濟’와 ‘결재決裁’ 13-01-13
22 아시나요 | ‘안절부절못하다’와 ‘얽히고설키다’ *2 13-01-12
21 아시나요 | ‘쫓다’와 ‘좇다’ *1 13-01-11
20 아시나요 | '패륜(悖倫)'과 '폐륜(廢倫)' 13-01-10
19 아시나요 | 一切 - '일절?' 혹은 '일체?' 13-01-09
18 아시나요 | ‘단합(團合)’과 ‘담합(談合)’ 13-01-08
17 아시나요 | '하렘(harem)'과 '할렘(harlem)' 13-01-07
16 아시나요 | ‘드러내다’와 ‘들어내다’ 13-01-06
15 아시나요 | '체'와 '채' 13-01-05
14 아시나요 | '바라다', '바래다', '발하다' 13-01-04
13 아시나요 | '-든지', '-던지' *1 13-01-03
12 아시나요 | ‘돼’, ‘걔’, ‘쟤’, ‘얘’ 13-01-02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