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하산 님의 서재입니다.

돌하르방 탄생설화

웹소설 > 일반연재 > 판타지, 중·단편

완결

하산
작품등록일 :
2014.11.26 10:39
최근연재일 :
2014.12.10 02:06
연재수 :
14 회
조회수 :
6,519
추천수 :
16
글자수 :
56,195

작성
14.11.30 06:16
조회
385
추천
1
글자
8쪽

귀비 망명 2

DUMMY

반란군의 수괴 안록산은 비상한 처세술로 3진陣 절도사의 지위까지 승승장구한 인물이다. 그는 소그드 상인과 돌궐무사의 딸 사이에 태어났다. 부친은 실크로드를 오가는 대상이었기에 늘 밖으로만 나돌아 사실상 편모슬하에서 자랐다. 정착민들과 달리 수시로 이동해야하는 유목민 집단에서 부친의 부재는 치명적 불이익이다. 어른 몫까지 감당하며 스스로를 지켜야 하는 아이에게는 하루하루, 그리고 매 순간순간이 투쟁의 장이었다. 덕분에 생존본능이 비상하게 발달했다. 그렇게 갈고닦은 지혜로 훗날 양귀비를 휘어잡고 황제도 주무르게 된다.

젊은 시절,

그는 유주(북경 일대) 절도사 장수규 수하의 하급 무관이었다. 비대한 둔텡이라며 구박하자 밥을 반만 먹었다. 상관에게 잘 보이려고 살을 뺀 인물은 역사상 안록산이 유일무이할 것이다. 여하튼 효과는 단단히 보았다. 기특히 여긴 장수규가 그를 달리 대한 것이다.

그렇게 남다른 노력으로 성공가도를 달린 그는 불평분자들에게 냉혹했다. 필요한 것을 가진 자에게는 아부의 달인, 약자에게는 승냥이였던 그는 늘 아부와 승냥이의 경계에서 살았다.

하급 무관에서 일약 평로병마사로 승진한 그는 더 높은 자리를 노렸다. 변방을 점검하러 조정 관리들이 올 때마다 극진히 대하며 잘 말해 달라 애걸했다. 그들은 돌아가 그를 칭찬했고 세월이 흐르면서 차츰 좋은 인상이 조정에 박혀갔다.

그가 스스로를 각인시킨 수단은 실로 고명했다. 어느 날 현종이 태자(이형 李亨)에게 인사시켰으나 멍하니 서서 절하지 않았다.

왜 절하지 않느냐고 하자 짐짓 물었다.

" 신은 오랑캐라 조정 예절을 모릅니다. 태자는 어떤 관직인가요?"

" 태자는 장래의 황제이니라."

록산이 기다린 것은 이 한 마디였다.

" 우둔한 신은 그저 폐하 한 분만을 알 뿐 태자는 몰랐습니다."

이 말을 보라. 얼마나 뛰어난가!

구질구질하지 않으면서 강직한 충성을 드러내지 않는가. 아무렇지도 않은 척 내뱉는 한마디 한마디는 심사숙고를 거친 주옥같은 아부였고 듣는 사람을 감복시키는 힘이 있었다.

비대한 그는 늘어진 뱃살을 양쪽에서 쳐들어야 허리띠를 맬 지경이었다. 그러나 오히려 이를 아부의 소재로 삼는 재치 또한 있었다. 어느 날 비대한 체구로는 믿기지 않을 만큼 날렵하게 호선무★를 춘 록산이 배를 불룩이며 가쁜 숨을 추스르고 있었다. 장난기가 동한 현종은 불룩한 배를 가리키며 농을 던졌다.

" 그 안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 폐하를 향한 붉은 충심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실로 순발력 있는 응구첩대였다.

그러나 평소 준비해두지 않았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재치 넘치는 아부이기도 했다.

(★ 호선무 胡旋舞

작은 융단 위에서 추는 고구려의 전통춤. 무예동작이 담긴 춤으로 유연하면서도 정교하고 날렵하다. 북방 기마민족들이 즐겨 추던 이 춤은 이슬람권인 사마르칸드까지 널리 유행했다. 고분벽화의 호선무와 인도 전통춤 ‘바라따나띠얌’의 춤사위는 발을 꼰 모양이 똑 같다 )


어느 날 양귀비와 그 자매들이 있는 자리에 처음 불려온 그는 더듬었다.

" 아신兒臣 저, 저, 저 신 안록산이 귀비 낭낭娘娘을 배알합니다."

계산된 말인지 얼떨결인지는 모르지만 뜻이 묘했다. 아兒란 어린 아들이며 낭낭은 어머니다.

" 사람은 원래 무의식중에 진심을 뱉는 법이다. 짐은 록산이 원하는 바를 알겠구나. 귀비를 어머니로 모시고 싶다고?"

황제의 말에 자매들은 박장대소했지만 막상 귀비 본인은 어이가 없었다. 이십대에게 40대 아들이라니! 하긴 황제의 나이는 아비 벌이니 아주 틀린 말은 아니었다.

" 소자 록산이 어머님의 만복을 바라옵니다."

능청스레 삼배를 올린다.

" 예의를 모르는 아들이로구나. 절은 아버지부터 해야 하느니!"

" 소자는 호인胡人 입니다. 저희 풍습은 어머니를 더 받듭니다."

모르기는커녕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귀비 말이라면 황제는 무사통과라는 것을.

그것이야말로 반의 노력으로 배의 효과를 보는 길이었다. 과연 그러했다.

그는 얼마 되지 않아 평로平虜, 범양范陽, 하동河東의 삼진 절도사를 겸하게 된다. 절도사는 보통 자리가 아니었다. 직급은 군구 사령관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군권뿐 아니라 행정, 재정까지 장악한 지방 토土 황제다. 10명의 절도사 자리 중 록산 혼자 3개를 차지한 것이다.


그렇게 승승장구 하던 와중에 귀비의 수양오빠인 양국충이 승상으로 부임했다. 귀비의 총애를 놓고 둘이 경합하는 것은 정해진 수순이었다. 당唐은 한인 외의 족속은 모두 호인胡人으로 취급한 철저한 인종차별 국가다. 심지어 4종류로 등급까지 매겨 최 하등급인 삼한출신 사민沙民 들은 노예가 되기 일쑤였고 돌궐과 소그드의 혼혈인 안록산 역시 그러한 차별에 대한 뿌리깊은 불만이 평소부터 있었다.

귀비의 위세에 기댄 국충은 오랑캐 록산을 여지없이 궁지로 몰아붙였다. 상대에게 삼진의 병력, 18만이 있는 반면에 금위군은 6만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간과한 어리석음이었다. 궁지에 몰리자 록산은 거침없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암투의 내막을 모르던 황제에게는 이 사태가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다. 록산은 신하가 누릴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가진 자 아닌가? 사랑에 눈 먼 늙은 황제는 결국 반란이 귀비에 대한 흑심 때문이라고 믿어버렸다. 그래서 서둘러 귀비의 피신부터 준비시켰다.

왜의 유학승 변정辯正이 은밀히 황궁으로 불려왔다.

그의 속성은 진陳씨다. 견당사였던 그는 장안에서 혼인해 형제를 두었다. 철저한 인종차별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당나라 여인을 아내로 얻을 만큼 변정에 대한 조정의 신임은 두터웠다.

그는 차남과 당나라에서 살았고 왜국 조정에 출사한 장남 조경은 이번 견당사 판관으로 장안에 와 있었다. 밀명을 받은 변정은 견당사 키비노 마키비(길비진비 吉備眞備)를 찾아 밀담을 나누었다.

며칠 후 황궁에서 나온 많은 짐수레가 견당사가 머무는 태화관으로 향했다. 그리고 다시 어딘가로 떠나갔다. 몽진 보름 전의 일이었다.


마외에서 하루거리인 시골에서 깨어난 옥환을 두 궁녀가 지키고 있었다.

반쯤 얼이 빠진 옥환에게 백제 출신의 늙은 궁녀 부루가 차근차근 설명했다.

" 마마님은 견당사 편에 왜국으로 가실 것입니다. 만세야께서는 시국이 잠잠해질 때까지 그곳에 머물라 하셨습니다."

무한으로 이동해 뱃길로 장강 하구의 숭명도까지 가면 견당선이 기다릴 것이다. 왜국까지 위사 두 명이 호위하고 왜국에서는 견당사 판관 진조경과 자기들이 모실 것이라 했다. 설명하는 부루는 걱정스럽게 옥환을 살피고 있었다.

옥환은 주름진 궁녀를 물끄러미 응시했다. 평소 존재감조차 없던 늙은 시녀가 오늘따라 태산처럼 믿음직해 보인다.

" 수고가 많았구나. 앞으로도 잘 부탁한다."

후궁의 서열은 귀비· 숙비淑妃· 덕비德妃· 현비賢妃의 순서다. 황후 없는 6궁의 수장이던 신분이 달랑 시녀 두 명과 왜국으로 떠난다? 지나온 세월이 무상했다.

양귀비.png


이 작품은 어때요?

< >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돌하르방 탄생설화 연재란
제목날짜 조회 추천 글자수
14 산갈치 3(완결) 14.12.10 468 2 10쪽
13 산갈치 2 14.12.09 587 0 14쪽
12 산갈치 1 14.12.08 531 2 12쪽
11 갈등 4 14.12.06 435 2 11쪽
10 갈등 3 14.12.05 427 0 10쪽
9 갈등 2 14.12.04 446 0 9쪽
8 갈등 1 14.12.03 472 0 7쪽
7 귀비 망명 4 14.12.02 394 2 9쪽
6 귀비 망명 3 14.12.01 482 1 7쪽
» 귀비 망명 2 14.11.30 386 1 8쪽
4 귀비貴妃 망명 1 14.11.29 411 1 8쪽
3 탐라의 아이들 3 14.11.28 447 2 10쪽
2 탐라의 아이들 2 14.11.27 382 1 7쪽
1 탐라의 아이들 1 14.11.26 652 2 5쪽

구독자 통계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