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di******** 님의 서재입니다.

왕따 이등병의 1차 대전 생존기

웹소설 > 일반연재 > 전쟁·밀리터리, 대체역사

di********
작품등록일 :
2020.11.21 18:30
최근연재일 :
2024.05.10 16:21
연재수 :
1,017 회
조회수 :
734,112
추천수 :
21,445
글자수 :
5,647,234

Comment ' 179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04
    No. 1

    지금 최소 80km 정도 후퇴한 상태인것 같네요. 그리고 현재 방어선에서 최소 40~50km 까지 독일군이 더 후퇴하다가 재반격을 가할거고요. (물론 무르만스크, 레닌그라드 등은 여전히 독일과 러시아 임시정부, 핀란드가 점령하고 있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4:06
    No. 2

    네 더 후퇴하다가 재반격하겟죠 소련도 나름 머리를 써서 독일군 포병대를 공격하고 한스는 이 말을 듣고 노발대발하겟죠 네 무르만스크 레닌그라드는 여전히 독일 러시아 임시정부 핀란드가 점령하고 잇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09
    No. 3

    게다가 파르티잔의 공격 등도 원역사보다 강화 될거라서 독일군과 히틀러 입장에서도 선후퇴 후재반격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 할거고요.(일단 최후방 지역인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러시아 서부 지역은 어느정도의 안정화 등을 성공함. 단 지금의 후방이자 최선선인 러시아 중부지역 등은 파르티잔의 활동이 강해짐.)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4:10
    No. 4

    하긴 그러네요 굳이 파르티잔과 싸우면서 병력 소모할 필요가 없겟네여 네 최후방 지역을 안정화하는데 성공햇으니! 네 최전선 러시아 중부지역은 파르티잔 활동이 강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11
    No. 5

    (물론 안정화된 지역들도 파르티잔의 공격이 있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4:11
    No. 6

    네 안정화된 지역들도 소수의 파르티잔 공격은 있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13
    No. 7

    (그래도 여기서는 러시아 해방군과 우크라이나군, 벨라루스 자치군 등이 있어서 파르티잔 소탕 등이 제대로 하고 있겠죠.)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44 g5******..
    작성일
    22.12.03 14:14
    No. 8

    우크라이나 동부는 러시아계가 많을뿐더러 경제정책에 수혜를 입었기에 자신들의 기반을 파괴한 독일에 저항을 할것이며 벨라루스또한 위와 같은 사유로 파르티잔이 강세를 보일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4:16
    No. 9

    아 우크라이나 동부쪽은 저항하겠네요 벨라루스도 경제정책 수혜 입엇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22
    No. 10

    그래도 어느정도 제압은 가능할거예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14:23
    No. 11

    반대로 우크라이나 서부 등이 파르티잔에 대항할거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6:47
    No. 12

    하긴 서부 우크라이나가 파르티잔에 대항하겟네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g5******..
    작성일
    22.12.03 14:30
    No. 13

    미군에 밀러(뮐러)나 와그너(바그너) 같은 독일계 미국인이 많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16:47
    No. 14

    뮐러 바그너가 독일계 성씨군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g5******..
    작성일
    22.12.03 20:21
    No. 15

    https://youtu.be/jm1G2SzXf20 영상 추천드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21:17
    No. 16

    1차대전 어려웠는데 이렇게 보니까 한눈에 보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21:18
    No. 17

    독자 여러분 제가 코로나인지 감기 인지는 모르겠는데 몸이 찌뿌둥하네요 아이고야 ㄷㄷㄷ 2월에 코로나 걸렸을때 엄청 아팠는데 그때만큼은 안아프네여 그래도 노력하겟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23:02
    No. 18

    아 또 대숙청 및 집단농장 등으로 피해를 본 일부 사람들과 농민, 시골 지역 등은 독일군이나 러시아 임시정부, 우크라이나 국민정부, 백군 산하의 벨라루스 임시 자치정부 등에 붙을 거니까요.(이들은 소련과 스탈린으로 부터 큰 피해를 받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23:04
    No. 19

    네! 이들이 독일군, 러시아 임시 정부, 우크라이나 국민 정부, 벨라루스 임시 자치정부에 붙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23:31
    No. 20

    지난화 댓글도 봐주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n2******..
    작성일
    22.12.03 23:34
    No. 21

    또 다음화에서는 본격적인 대반격이 시작 됬으며, 지금 어디까지 후퇴한 상황이고 놈을 최대한 더 끌어들인 다음, 후방에서 만든 예비대 등으로 소련군에게 피해를 주겠다라는 얘기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23:43
    No. 22

    네! 내일 댓글 모두 확인하고 이 내용도 추가하도록 하겟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3 23:44
    No. 23

    독자 여러분 혹시 소련이 페르시아 침공해서 랜드리스 받을 루트 만들려고 하지 않을까여 무르만스크를 독일군이 점령하고 있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증오하는자
    작성일
    22.12.04 10:27
    No. 24

    그러나 이건 소련의 자폭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과거 그레이트게임에서 영국과 러시아가 갈등 빚은 것을 떠나 이렇다할 명분이 없죠.

    원역사에서의 경우 추축국에 가입한 이라크보다는 아니더라도 친독 성향 있는 이란을 영소가 침공한 것은 엄연히 영국이 독일과 전쟁 중이었기에 침공이 가능한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4 13:20
    No. 25

    아 하긴 그 때랑은 상황이 다르네요 침공할 명분이 없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증오하는자
    작성일
    22.12.04 10:30
    No. 26

    근데, 지금은? 그냥 영국 어그로 끄는거죠. 어차피 역사변화로 영국이 이란에 투자겸 영향 행사를 더할 것이기에 아직은 아니며 이란 팔레비 왕조도 일단 가만 있을겁니다.

    만약 이란에서 이상한 짓을 벌인다면 그건 영국이 해결할 문제고 영국이 제안해야지만 소련이 이란 침공할 수 있는 겁니다. 수상이 될 처칠이라면 조금만 것이라도 침공할 수 있거니와 영국의 독일 견제 웅직임이 크기에 가능은 하지만 일단 소련이 페르시아 침공할 수 없으니깐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4 13:21
    No. 27

    하긴 이건 좀 아니네요 네 그건 영국이 해결할 문제가 소련은 그럴 명분이 없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증오하는자
    작성일
    22.12.04 10:48
    No. 28

    어차피 본격적 랜드리스도 없어서 피해가 원역사보다 큰 것도 아니고 오히려 독일이 외교적 고립과 병력 소모를 강요 받는 상황에서 자폭할 만한 짓을 할 스탈린이 아니죠.

    이거 이거 가뜩이나 짜증나고 죽이고 싶은 주인공 때문에 독일이 이기는것 같은데 또다시 반러 감정이? 농담입니다. 하여간 소련이 많은 역사의 버프를 먹었기에 일단은 무역이나 약한 지원 원리에서 잘 받는 상황인지라 무르만스크 손해를 본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나마 적은 지원 다 끝어질려는 멍청이들이 아닙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4 13:21
    No. 29

    하긴 랜드리스도 원역사처럼 본격적인게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di******..
    작성일
    22.12.04 13:22
    No. 30

    네 페르시아 침공은 하지 않을거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