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한새로 님의 서재입니다.

아시나요


[아시나요] '띠다', '띄다', '뛰다'

오늘은 같으면서도 다른 띠다’, ‘띄다’, ‘뛰다입니다.

 

이 세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데 실제로 띠다를 써야 할 데에 띄다, 반대로 띄다를 써야 할 곳에는 띠다를 쓴 것을 가끔 봅니다.

 

우선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면, ‘띠다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혹은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녀는 미소 띤 얼굴로 나에게 다가왔다.”

나는 그런 그녀에게 검붉은 빛을 띤 장미를 건넸다.”

 

반면에 띄다뜨이다의 준말이거나 띄우다의 준말입니다. 전혀 다른 두 단어의 준말이라 더 헷갈리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일단 뜨이다뜨다의 피동사 로,

 

그녀 생각에 밤새 잠을 설친 끝에 아침 늦게야 눈이 뜨였다.”

 

혹은 남보다 훨씬 두드러지다.’의 의미로,

 

그녀는 아무리 수수하게 입어도 사람들 눈에 띄었다.”

 

등으로 씁니다.

 

한편 띄우다뜨다의 사동사로,

 

그녀의 고맙다는 한마디는 내 기분을 한없이 띄웠다.”

그리고는 장미에서 잎을 하나 떼어 물 위에 띄웠다.”

 

보면 아시겠지만 현재형일 때는 같던 두 단어가 과거형일 때는 달라집니다.

 

띄다뜨다의 피동사 뜨이다로 쓰일 때는 띄었다가 되고, 사동사 띄우다로 쓰일 때는 띄웠다가 됩니다. 이 차이만 아신다면 실제 사용할 때 훨씬 덜 헷갈리리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뛰다달리기하다의 의미를 지녔습니다. ‘뛰다띠다띄다와 헷갈릴 리는 없다고 하겠지만, 인터넷 댓글에는 띄다뛰다로 쓴 경우를 가끔 봅니다.

 

오늘은 설명이 길어졌네요.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그렇다구요. ^^



댓글 0

  • 댓글이 없습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51 아시나요 | '다음날'과 '다음 날' 15-01-04
50 아시나요 | ‘연애(戀愛)’와 ‘연예(演藝)’ 14-12-24
49 아시나요 | '뭍다?', '묻다!' 14-12-16
48 아시나요 | '우리나라'와 '우리 나라' *1 14-12-12
47 아시나요 | '사사하다' 14-06-18
46 아시나요 | 연결어미 '-야만', 보조 형용사 '만하다' 14-06-15
» 아시나요 | '띠다', '띄다', '뛰다' 14-06-14
44 아시나요 | 의존명사 '지', 연결어미 '-ㄴ지' *1 14-06-03
43 아시나요 | ‘도대체(都大體)’, ‘심호흡(深呼吸)’ 13-10-09
42 아시나요 | '그동안' 13-10-08
41 아시나요 | 틀리기 쉬운 사자성어 13-10-05
40 아시나요 | '사귀다' *1 13-09-27
39 아시나요 | 어미 '-어요.' 13-02-18
38 아시나요 | '두말없이', '온데간데없이', '별것' 13-02-06
37 아시나요 | '별말', '큰소리', '한몫' 13-02-04
36 아시나요 | ‘곤혹(困惑)’과 ‘곤욕(困辱)’ 13-01-28
35 아시나요 | ‘내로라하다’ 13-01-27
34 아시나요 | ‘몇’ *1 13-01-24
33 아시나요 | ‘-데’와 ‘-대’ *2 13-01-23
32 아시나요 | ‘드리다’ 13-01-22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