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한새로 님의 서재입니다.

아시나요


[아시나요] ‘-데’와 ‘-대’

오늘은 어미 ‘-데’와 ‘-대’입니다.


저도 쓸 때마다 헷갈려서 사전을 찾아보니 설명이 무척 장황하더군요.

요점을 간추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는 ‘-다고 해’의 줄임말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에게 전달하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걔가 아프대.”는 “그 아이가 아프다고 해.”의 줄임이 되겠지요.


반면에 ‘-데’는 스스로의 경험(회상)을 이야기할 때 씁니다.

“그 집 음식 참 맛있데.”

(먹어 보니 그 집 음식이 참 맛있더라.)

“그 집 음식 참 맛있대.”

(다른 사람들이 그 집 음식이 맛있다고 하더라.)


그 밖에도 ‘데’는 의존 명사로 사용되는데 이때는 반드시 띄어 씁니다.

‘곳’이나 ‘장소’. “머물 데가 없어.”

‘일’이나 ‘것’. “그걸 마치는 데 일주일이나 걸렸어.”

‘경우’. “써먹을 데가 없는 놈.”

등으로 사용됩니다.


간단하게 적으려고 했는데 길어졌네요.

뭐, 그렇다구요. ^^



댓글 2

  • 001. Lv.25 다이버스

    13.10.10 12:50

    도움을 얻고 갑니다. 저도 맞춤법 때문에 항상 고개를 갸웃거립니다.
    그 때마다 항상 네이버 검색을 하고 있지만, 이렇게 편하게 생각 날 때마다 읽어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니!
    어쨌든 고맙게 읽고 갑니다. 다른 것도 아 봤는데 여기만 댓글을 다네요.

  • 002. Lv.99 락필

    14.12.16 14:29

    즐찾하고 햇갈릴때마다 와서 봐야겠어요.
    대 와 데 항상 햇갈렸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51 아시나요 | '다음날'과 '다음 날' 15-01-04
50 아시나요 | ‘연애(戀愛)’와 ‘연예(演藝)’ 14-12-24
49 아시나요 | '뭍다?', '묻다!' 14-12-16
48 아시나요 | '우리나라'와 '우리 나라' *1 14-12-12
47 아시나요 | '사사하다' 14-06-18
46 아시나요 | 연결어미 '-야만', 보조 형용사 '만하다' 14-06-15
45 아시나요 | '띠다', '띄다', '뛰다' 14-06-14
44 아시나요 | 의존명사 '지', 연결어미 '-ㄴ지' *1 14-06-03
43 아시나요 | ‘도대체(都大體)’, ‘심호흡(深呼吸)’ 13-10-09
42 아시나요 | '그동안' 13-10-08
41 아시나요 | 틀리기 쉬운 사자성어 13-10-05
40 아시나요 | '사귀다' *1 13-09-27
39 아시나요 | 어미 '-어요.' 13-02-18
38 아시나요 | '두말없이', '온데간데없이', '별것' 13-02-06
37 아시나요 | '별말', '큰소리', '한몫' 13-02-04
36 아시나요 | ‘곤혹(困惑)’과 ‘곤욕(困辱)’ 13-01-28
35 아시나요 | ‘내로라하다’ 13-01-27
34 아시나요 | ‘몇’ *1 13-01-24
» 아시나요 | ‘-데’와 ‘-대’ *2 13-01-23
32 아시나요 | ‘드리다’ 13-01-22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