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한새로 님의 서재입니다.

전체 글


[아시나요] ‘드리다’

오늘은 ‘드리다’입니다.


‘드리다’는 두 가지로 사용하는데 한 가지는 보조용언이고, 다른 한 가지는 접미사입니다.


아시다시피 보조용언은 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의미를 보충하는 동사 또는 형용사입니다. ‘먹고 싶다.’의 ‘싶다’나 ‘먹어 보다.’의 ‘보다’ 같은 경우지요.

‘드리다’가 보조용언(보조동사)으로 쓰일 경우에는 ‘주다’로 바꿔 쓸 수 있으며 띄어 쓰는 게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할아버지, 제가 읽어 드릴게요.”와 같이 ‘드리다’는 ‘주다’로 치환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공손한 행위’의 의미를 더하여 명사의 뒤에 붙여 쓰는 접미사 ‘-드리다’일 경우 ‘주다’로 치환이 불가능합니다.

“제가 말씀드릴게요.”

접미사는 ‘접’미사이므로 앞의 어휘와 반드시 붙여 써야 합니다. 사전을 찾아보니 이와 같은 예가 몇 가지 있군요. ‘인사드리다.’, ‘불공드리다.’, ‘공양드리다.’ 같은 경우라네요.


또 하나. ‘감사드리다’, ‘축하드리다’의 경우 2011년 이전까지는 맞춤법에 어긋난 어휘였지만, 국립국어원에서 2011년 표준 언어 예절 개정 시 높임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낸 어휘로 인정해 ‘감사하다’를 ‘감사드리다’로, ‘축하하다’를 ‘축하드리다’로 써도 맞는 것으로 인정하여 맞는 어법이 되었습니다.


뭐, 그렇다구요. ^^



댓글 0

  • 댓글이 없습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31 아시나요 | ‘-시-’ 13-01-21
30 아시나요 | '뿐' 13-01-20
29 아시나요 | ‘해보다’와 ‘해 보다’ *3 13-01-19
28 아시나요 | '게'와 '-ㄹ게' 13-01-18
27 아시나요 | ‘이따’와 ‘있다’ 13-01-17
26 아시나요 | ‘어떠하다’ 13-01-16
25 아시나요 | ‘못하다’와 ‘못 하다’ 13-01-15
24 아시나요 | '니가?', '너가?', '네가!' *1 13-01-14
23 아시나요 | ‘결제決濟’와 ‘결재決裁’ 13-01-13
22 아시나요 | ‘안절부절못하다’와 ‘얽히고설키다’ *2 13-01-12
21 아시나요 | ‘쫓다’와 ‘좇다’ *1 13-01-11
20 아시나요 | '패륜(悖倫)'과 '폐륜(廢倫)' 13-01-10
19 아시나요 | 一切 - '일절?' 혹은 '일체?' 13-01-09
18 아시나요 | ‘단합(團合)’과 ‘담합(談合)’ 13-01-08
17 아시나요 | '하렘(harem)'과 '할렘(harlem)' 13-01-07
16 아시나요 | ‘드러내다’와 ‘들어내다’ 13-01-06
15 아시나요 | '체'와 '채' 13-01-05
14 아시나요 | '바라다', '바래다', '발하다' 13-01-04
13 아시나요 | '-든지', '-던지' *1 13-01-03
12 아시나요 | ‘돼’, ‘걔’, ‘쟤’, ‘얘’ 13-01-02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