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施芳生 님의 서재입니다.

전공 삼국지

유료웹소설 > 연재 > 대체역사

유료 완결

멱운
그림/삽화
멱운
작품등록일 :
2014.11.15 21:02
최근연재일 :
2017.04.21 00:59
연재수 :
489 회
조회수 :
2,677,497
추천수 :
79,334
글자수 :
2,665,780

일괄 구매하기 현재 연재되어 있는 편을 일괄 구매합니다.
선택 구매, 대여 시 작품 할인 이벤트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미 구매/대여한 편은 제외됩니다.

선택 구매하기 선택 구매, 대여 시 작품 할인 이벤트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미 구매/대여한 편은 제외됩니다.

일괄 대여하기
현재 연재되어 있는 편을 일괄 대여합니다.
선택 구매, 대여 시 작품 할인 이벤트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미 구매/대여한 편은 제외됩니다.

선택 대여하기
선택 구매, 대여 시 작품 할인 이벤트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미 구매/대여한 편은 제외됩니다.

결과

구매 예정 금액

0G
( 0원 )

0
보유 골드

0골드

구매 후 잔액

0G

*보유 골드가 부족합니다.

  • 꼭 확인해 주세요.
    • - 구매하신 작품은 유료약관 제16조 [사용기간 등]에 의거하여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 - 콘텐츠를 구매/대여 후 열람한 시점부터 취소가 불가능하며, 열람하지 않은 콘텐츠는 구매/
        대여일로부터 7일 이내 취소 신청이 가능합니다.
    • - 단, 대여의 경우 대여기간이 만료되면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 이벤트 행사가 진행중인 콘텐츠를 구매/대여한 경우 각 이벤트 조건에 따라 취소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 - 콘텐츠 제공자의 의사에 따라 판매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가격변경을 이유로 한
        구매취소는 불가능합니다.
  • 구매 취소 안내
    • - 일회성 콘텐츠이므로 구매/대여 후 열람하신 시점부터 구매/대여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 단, 사용하지 않은 구매/대여 편은 구매일로부터 7일 이내 신청 시 취소가 가능합니다.
    • - 일괄 혹은 묶음 구매/대여를 한 경우, 한 편이라도 열람 시 나머지 편 또한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대여 안내
    • - 대여 기간 : 대여 시부터 편당 1일, 최대 90편 이상 90일

내용

닫기

Comment ' 29

  • 작성자
    Lv.99 RockHear..
    작성일
    14.12.05 12:49
    No. 1

    뭘 만드려는 걸가요? 흥미 진진해 집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네오3
    작성일
    14.12.05 13:11
    No. 2

    건필하십시오. 하늘이 참 파랗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마법저아
    작성일
    14.12.05 13:27
    No. 3

    흉노말이 몽골말맞나욤?..체력이 좋은말? 작고 튼튼한 그말이 맞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새램
    작성일
    14.12.05 14:41
    No. 4

    과하마가 생각나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울란바타르
    작성일
    14.12.05 16:06
    No. 5

    등자의 존재를 안다면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법한데 왜 이리 힘들게 훈련하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저런 훈련으로 양성된 기마병이라면 정예일 듯 하지만 시일이 급하지 않은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3 나그네0
    작성일
    14.12.05 17:48
    No. 6

    궁기병을 만들려는가 보군요.
    처음부터 등자가 있는 말로 훈련하는거 하고
    등자없이 훈련시킨다음 등자를 적용한는거하고
    어느게 나을까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문장술사
    작성일
    14.12.05 18:28
    No. 7

    견자를 굳이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자면 우둔한 자식, 어리석은 아들 이란 의미가 강합니다. 호부 밑에 견자 없다는 말도 그런 의미랑 일맥상통합니다.
    한자 자체가 워낙 중의적으로 쓰이는 의미가 커서 실제로 돌아써서 욕을 해도 못알아 듣는 경우가 있습니다.
    뭐 중국인이야 한자만 쓰니 못알아 듣진 않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월충전설
    작성일
    14.12.05 20:02
    No. 8

    호오~~~~ 근데 과연 제대로 조련해서 운용할 능력이.... 있겠죠. 주인공이니까요. 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호랑이눈물
    작성일
    14.12.05 20:22
    No. 9

    연재주기가 아쉬네요 횟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2 메이지
    작성일
    14.12.06 03:30
    No. 10

    비단옷이라.. 엄청 비싼 군대네요.
    유목민족애들은 호(胡)주머니를 크게 만들어서 그 안에 두꺼운 판자를 넣어 화살로부터 급소를 보호했죠.
    최소한 비단옷보단 쌀 것 같아요. 건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2.06 17:55
    No. 11

    이야, 정주행 처음부터 다해버렸네요. 얕은 제 생각도 궁기병대를 만들 것 같습니다... 유럽의 판금갑옷의 경우 랜스나 화살에 의해 갑옷이 뚤리면 안으로 휘어들어가면서 철이 사람의 살을 찔러 2차로 추가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비해 징기스칸의 군대가 중원에서 공성을 펼칠때 군사들에게 갑옷속에 비단옷을 입혔다고 하는데 질기고 유연해서 화살이 날라와도 깊게 박히지 않았다고 합니다. 박혀도 쑥 뽑으면 된다나요? 머 암튼 방탄조끼 역할도 하고 무게감도 적을 뿐더러 움직임의 제약도 적으니 딱 좋을 겁니다. 게다가 삼국시대 당시 모든 군대가 갑주를 두르고 싸울 수가 없었죠,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깐요.
    거기다 송나라땐가? 여진궁기병 수십 잡을려고 약 2000의 보병을 대동한 것 보면. 아마도 작고 단단한 체구에서 나오는 지구력과 순발력. 쉽게 방향전환이 가능한 기동성을 가지고 ㅎㄷㄷ한 궁기병단을 만드실 꺼 같은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건필하세요 ㅎ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2.07 17:38
    No. 12

    으으 굴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얄라리얄라
    작성일
    14.12.07 19:31
    No. 13

    잘보고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3 트래픽가이
    작성일
    14.12.08 18:59
    No. 14

    몇회전 내용보고 연의기반의 그저그런 삼국지물인가 했었는데
    우와 소리 나오는 좋은 삼국지물을 하나 건진거같아 기분이 좋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Petratim..
    작성일
    14.12.09 16:05
    No. 15

    이토록 오래 쉬시다니... 작가님의 각성이 필요합니다. ;ㅁ;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 새램
    작성일
    14.12.09 16:25
    No. 16

    언제 돌아오시려는지 .. 코멘트라도 남기시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선율
    작성일
    15.01.20 11:21
    No. 17

    잘 보고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로또1등
    작성일
    15.01.28 04:07
    No. 18

    몽골애들은 그런 말을 일인당세마리 이상 끌고다니며 말 달리는중에도 바꿔탈종도의 기마술이있으니 가능했지 달랑 일인당 한마리면 큰말이 나을건대요. 글고 위에 궁기병 말씀 하신분 말도 안됩니다. 기병 훈련 . 귱병 훈련도 따로 따로도 몇년 걸리는 과정인데 말타고 창칼 휘두르는거도 아니고 활을 쏘러고요? 제대로 기사가 되는 궁기병은 몽골. 조선 기병 정도.. 몽골도 기마는 뛰어나도 말타고 활쏘는건 조선기병보다 적중률 후진데요. 문젠 조선 궁기병은 엘리트? 군대라 숫자부족. 무과에 기사가 정규과목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로또1등
    작성일
    15.01.28 04:09
    No. 19

    몽골 활은 별로못쏴요 양궁 금 몽골서 나오나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16 로또1등
    작성일
    15.01.28 04:13
    No. 20

    그래도 남자는 애새끼부터 말등에서 잠도잘 정도로 타고다니는 애들이라 남자=기병 이라고 보면될정도라 고려가 캐발렸겠지요. 이짝은 말 키울수있는 부자집 어들네미나 가병정도만.글고도 접근전 하면 기마술 뛰어난 몽골한테 발려 버리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로또1등
    작성일
    15.01.28 04:20
    No. 21

    청나라 애들은 고구려 때랑해서 울민족과 더 가까울듯도 한데 여진기병도 기사(말타고 활쏘기)는 조선 기병보다 못했다네여. 물론 붙으면 다이. 근데 그놈의 기병 숫자도 모자르고 다 강제징집 농민보병 이라 병자호란 발림.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16 로또1등
    작성일
    15.01.28 04:22
    No. 22

    우리나리 활 잘쏘는건 종특인듯 땅에서 쏘는거든 말타고 쏘는거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노인월하
    작성일
    15.02.07 22:55
    No. 23

    비단으로 화살방어용 방탄복을 만들려면 8겹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입었던 옷에서도 나타나지요.

    이순신이 대동강에서 만호직을 수행할 당시 여진과 자주 싸우면서 여진의 화살로부터 몸을 방어하기 위해서는(중상을 경상으로 낮추고, 화살을 정통으로 맞더라도 몸에서 화살을 빼내기가 용이 함) 8겹의 조선제 무명(비단)으로 만드는게 가장 좋다는 것을 알았다고 합니다. 물론 방탄복 위에 갑옷도 입었죠.

    이는 일본의 조총도 방어할 정도의 방호력을 가졌다 합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11 소금과설탕
    작성일
    15.05.05 04:04
    No. 24

    너무 재밌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해.
    작성일
    15.10.05 02:03
    No. 25

    판타지 영지물을 삼국지에 넣은 느낌. in삼국지가 그립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46 Judi
    작성일
    15.12.13 01:48
    No. 26

    지금까지 좋네요. 진행이 다소 느리긴 하지만 그만큼 충실한 내용들. 역사글에 이런저런 논란은 나올수 밖에 없는 것이고 논쟁이 있다는 건 이 글이 나름대로 역사적 디테일을 잘 살리고 있기 때문이죠.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 si******
    작성일
    16.12.12 05:22
    No. 27

    삼국지 대체역사물 정말 좋아하는데 우리 작가님은 소소하게 리테일하게 글써시는게 너무 좋네요. 부디 30권으로된 책이나오더라도 소장하고 또볼수있도록 글적어주세요.작가님 잘보고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비슈누
    작성일
    18.03.14 00:01
    No. 28

    개자식에서 뻥 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id******..
    작성일
    21.01.25 18:49
    No. 29

    혼자서 900명을 컨트롤 한다니 대단하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비밀번호 입력
@genre @title
> @subject @time